적천수

적천수간지총론(干支總論) - 간지배합(干支配合)의 천복지재(天覆地載) _2

국건사 2023. 2. 14. 13:00

2. 천지괴패이혼란자망(天地乖悖而混亂者亡)인 경우 _ 1

 

위 명식에 대한 임철초의 해석이다.

"이 명식 역시 정화(丁火) 정관(正官)으로 용신을 삼는다. 지지에서도 똑같이 묘목(卯木) 정재(正財)가 실어주고 있다. 이전의 명식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다른 점은 묘유충(卯酉沖)을 만나 정화의 뿌리가 손상되었다. 지지에는 수(水)가 거의 없으니 재성(財星)으로서는 극(剋)을 당하기만하고 생조가 없다. 

비록 시간에 갑목(甲木)이 투출하였지만, 신금((申金) 위에 위치하였으니, 지지에서 실어주지 않음으로 비록 있으나 없는 것과 같다. 따라서 전통있는 집에서 태어났으나, 학문을 계속하지 못하였고, 온갖 고생과 고통을 당한다. 술운으로 바뀌자 지지에서 신유술 서방을 유취하니 가난과 궁핍을 감당할 수 없었다."

 

1. 묘월 경진일주 명식으로 실령하였으나 일지에 진토 인성을 두었는데, 인성은 연간 기토로 투간까지 되었다. 연지와 시지에 각각 유금과 신금을 두었으니 신강한 명식이다. 

2. 임철초는 앞의 명식과 마찬가지로 목화(木火)을 용신으로 보았지만, 억부상으로 보았을 때는 수목(水木)이 용신이 된다. 용신은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묘중 갑목(卯中甲木)인데, 지지가 금(金) 기운이 드세다. 게다가 묘유충으로 용신인 갑목과 을목이 각각 지장간의 갑경충, 을신충으로 손상된 점이 아쉽다. 

3. 월지 묘목을 생조할 수 있는 힘은 일지 진토의 진중계수인데, 이 진토는 연지 유금과 유진합으로 묶여 묘목을 생조하기 벅차다. 때문에 시간의 갑목이 지지에 뿌리를 내릴 곳이 마땅치 않다. 

4. 묘유충과 유진합은 이 명식의 수생목 - 목생화 - 화생토로 이어질 상생의 흐름을 가로 막는다. 

5. 대운으로 흐름을 살핀다. 먼저 을축대운의 경우에 용희신 대운으로 보이나, 천간은 을경합 - 지지는 유축반합으로 바뀌어 좋지 않다. 갑자대운의 경우에 자수(子水)는 신자진(申子辰) 수국(水局)을 이루어 갑목을 생조하는 구조가 만들어져 나쁘지 않다고 본다. 다만 임철초의 관점에서 정화(丁火)를 용신으로 본 경우에는 갑자대운은 극히 조심해애할 대운이다. 

6. 이 명식의 주인공이 어떻게 살았는지는 임철초의 설명에 의지하는 수 밖에 없다. 임철초의 설명에 의하면 명식의 주인공이 평생 힘든 인생을 살았던 것 같고, 만약 그렇다면 화 관성이 생조되는 힘도 약하고, 지지에 뿌리가 없어 고립되었던 탓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연 이 명식이 그렇게 비참한 인생을 살 정도로 안좋은 사주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본다. 

7. 용신을 목화(木火)로 보든, 수목(水木)으로 보든 이 명식의 핵심은 강력한 토금(土金)을 설기하면서 재성을 생조하는 수(水) 식상이 부족하다는데 있는 것 같다. 대운에서 갑자 - 계해의 수(水) 기운이 들어오는 시기가 분명히 있고, 이 수(水) 식상 - 자유로운 창의력을 활용한다면 무엇인가 길이 열렸을 것으로 본다. 화(火)의 기운은 대운에서도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 아니라,  원국내에서도 힘이 없어 관성으로 무엇인가를 도모하는 것은 좋지 않은 방향인 것 같다. 

 

3. 천지괴패이혼란자망(天地乖悖而混亂者亡)인 경우 _ 2

 

 

위 명식에 대한 임철초의 설명이다.

"경신(庚辛)과 임계(壬癸)로서, 금수(金水)가 둘 다 청(淸)하다. 지지에 신유(申酉)와 사오(巳午)가 있어 금(金)을 단련시킨다. 이른바 오화(午火)의 진신을 용신으로 얻었으니, 이치적으로는 응당 명리가 둘 다 빛나야 된다.  

애석한 것은 오행 중에 목(木)이 없다. 금(金)은 비록 실령하였으나 무리를 이루어 왕성하고, 화(火)는 비록 당령(當令)했으나 보좌하는 것이 없다.

더욱 안 좋은 것은 임계(壬癸)가 천간에서 화(火)를 덮고 있는데, 또한 경신(庚辛) 금(金)이 바짝 붙어서 수(水)를 생조하고 있다. 더구나 신금(申金)이 또한 장생지이니, 이는 곧 임수(壬水)가 더욱 방자하여 날뛰게 된다.

비록 사화(巳火)가 오화(午火)를 돕고 있다고 할지라도, 사유(巳酉) 삼합 금국을 이루었으니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때문에 오화(午火)의 세력은 의지할 곳 엇이 외롭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신유(申酉) 양운에, 고생과 고통이 보통 이상이었으며,

병술운(丙戌運) 중에는 용신이 도와서 일으키니, 크게 기회를 잡는다.

해운(亥運)으로 바뀌자, 임수(壬水)가 녹지를 얻고, 계수(癸水) 역시 왕성해지므로, 화기(火氣)는 극제(剋制)로 진멸(盡滅)된다. 가업을 파산하고 사망하게 된다."  

 

1. 오월에 신유일주로, 득령하지는 못했으나 득지하고 득세하였다. 명식을 살피면 천간의 식상 임계수(壬癸水)와 지지의 사오화(巳午火)는 모두 금(金) 기운을 극하거나 설기하는 힘으로 금(金) 기운과 겨룰만 한 힘으로 보이지만, 화(火) 관성은 수(水) 식상에게 극(剋)을 당하기 때문에 사실상 금(金) 이 왕성하다. 신강한 명식이다. 

2. 식상인 임계수는 신중임수(申中壬水)에 뿌리내려, 천간에 투출하였으므로 강한 힘이다. 식상이 강한 신강한 명식은 관성을 용신으로 삼으로 용신은 화(火)가 된다. 용신이 월령을 차지했으므로 진신(眞神)이 용신이 된 모양새다. 그러나 안타까운 점은 병화(丙火)는 병신합수(丙辛合水) - 정화(丁火)는 정임합목(丁壬合木) - 사화(巳火)는 사신합수(巳申合水) 되어,  오직 오화(午火) 만이 용신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점이다. 오화(午火)의 입장에서는 원국 내에서 유일하게 도움이 될 사화(巳火)는 사유합(巳酉合)으로 묶이며 , 월간에 임수(壬水)에 의해 힘을 잃는다. 

3. 갑신 - 을유대운의 경우 목(木)은 희신으로 용신을 생조할 수 있는 힘이나, 지지에 각각 신금과 유금에 의해 힘이 약해진다. 여기에 더해서 갑목은 갑경충(甲庚沖)을 하는데 금(金) 기운이 더욱 거세지며 - 쇠신충왕왕신발(衰神沖旺旺神發), 을목도 을경합금(乙庚合金)과 을신충(乙辛沖)으로 오화를 생조하기 어렵다. 

4. 용신운인 병술운의 경우 병화는 병신합수(丙辛合水) 하여 좋지 않으나, 술토는 오술반합(午戌半合)하여 오화를 함께 묶는 모양새가 좋다. 다시 정해대운에서 정화는 지지에 해수를 두어 힘을 발휘하기 어렵다.

5. 명식에서 가장 중요한 힘은 식상을 설기하면서 관성을 생조할 목 재성의 힘이다. 원국 내에서 목은 지장간에도 찾을 수 없고, 대운에서의 목은 모두 지지나 천간에 금을 두어 계두, 절각되는 점이 좋지 않다. 

 

4. 천지순수이정수자창 (天地順遂而精粹者昌)인 경우 _ 2

 

 

위 명식에 대한 임철초의 해석이다. 

"이 명식도 역시 오중 정화 편관을 용신으로 삼는다. 임수가 역시 위에서 덮고 있고, 경금과 신금이 옆에서 임수를 생조하고 있다. 이 명식에서 좋은 점은 오시(午時)로서 돕고 있는 것이고, 더욱 좋은 것은 천간에서 갑목이 덮고 있는 것이다. 즉 오화는 음덕이 왕성해진 것일 뿐만 아니라, 또 임수가 갑목을 만났으니 식상으로서 재성을 생조하게 되고 오화와 대적하지 않게 된다.

사주가 상생의 정이 있으며, 쟁투와 극제의 흐름이 없다. 지방 향시에 급제하여 출세하였고, 벼슬이 관찰사에 이른다.

앞의 명식에 비해 단지 앞과 뒤 한 시간을 바꿔서 태어났지만, 하늘과 땅 차이가 되는 것이니, 이른바 털끝만한 차이가 천리의 차이가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 우선 사주는 신강한 명식이다. 위 사주와 다른 점은 지지의 화(火) 관성이 시간 갑목(甲木)의 생조를 받아 힘이 있어, 수(水) 기운에 대응할 만하다는 점이다. 

2. 용희신은 화목(火木)이 되는데, 기신인 수(水)를 설기할 수 있는 시간 갑목(甲木)이 이 원국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사주든 풍수든 기(氣)가 유통하는 것을 가장 길하게 보는 동양사상의 관점에서 볼 때, 대립하는 수(水)와 화(火)를 유통할 수 있는 목(木) 기운의 유무가 이 두 사주의 차이점이다. 

3. 그러나 3번 명식에 비해 갑목이 있는 점이 좋아보이고, 시주의 재생관은 좋은 점이다. 그러나나 개인적으로 갑목이 신유일주의 극(剋)에 대응할만한 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임철초의 해석대로 금생수 - 수생목 - 목생화로 이어지는 상생의 구조가 만들어지기에는 신유일주가 너무 강한 힘은 아닌지 생각해본다. 물론 임철초의 해석에 따르면 명식의 주인공은 관찰사에 이르렀다지만, 사주의 구조만으로 사람의 성공을 말하는 것도 크게 믿을 만한 것은 못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