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주가 왕하여 충이 두렵지 않은 경우
병화일주가 일지에 인수(印綏)를 두었고, 봄에 태어났다 (辰月). 인성의 기세가 남아있는데다 연주(年柱)에 갑인을 만났으니, 이는 곧 태과한 것이 된다. 토(土)는 비록 당령(當令)하였지만, 목(木)이 더욱 견고한 상황으로서 좋은 것은 인신으로 충을 만났으니(寅申沖), 재성이 용신이 된다. 하지만 가장 안 좋은 것은 비겁이 개두(盖頭)하고 있는바, 충이 무력해졌다.
일찍이 운이 남방의 화(火) 운으로 달리니 인생의 기복이 심했으니, 임신(壬申)운과 계유(癸酉)운 20년 동안은 지지가 신금(申金)을 도와 인목(寅木)을 충하여 보내버리고(沖去) 천간은 비견인 병화를 극하여 보내버리니(剋去) 사업을 시작하여 집안을 일으켰다. 이를 일러 '인성을 버리고 재성을 취한다'라고 한다.
1. 병화일주가 지지에 인목(寅木)을 두어 득지하였고, 연주에도 갑인(甲寅)일주를 두었다. 월주에 토(土) 간지동을 두어 병화를 설기하는 힘도 강하지만, 목화(木火)가 강한 명식으로 신강하다.
2. 용신은 금수(金水)가 되는데, 문제는 용희신을 모두 지장간에 암장한 신금(申金)이 인목(寅木)과 쟁충을 하고 있는 점이다. 임철초는 "인신충을 만난 것은 좋은 일로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다. (喜其寅申逢沖 財星得用)"고 하였는데, 이 의미는 원국내에서 강한 기운인 목(木) 기운을 신금(申金)이 충(沖)을 하여 인성과 식상이 균형을 맞추는 것으로 본 것으로 이해된다.
3. 그러나 개인적으로 신금이 인목과 쟁충을 하고 있어 신금이 충거되는 모양으로 보인다. 이 사주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고립되고, 충에 의해 약해진 신금의 행방이며, 신금에 힘이 실리면 강한 식상생재로 이어지는 모양새가 된다고 본다.
4. 대운의 흐름에서 신미(辛未)대운은 병신합수(丙辛合水)되어 좋은 모양새나, 지지에 미토(未土)를 둔 점이 아쉽다. 임신(壬申)대운과 계유(癸酉)대운은 임철초의 설명대로 신금(申金)에 힘을 실어주는 대운으로 좋다.
2. 일주가 약하여 충이 두려운 경우
이 사주 또한 일지, 즉 좌하(坐下)에 인성인 인목(寅木)을 깔고 늦봄에 태어나 인수(印綏)의 기세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칠살인 연간의 임수(壬水)는 인성인 갑목(甲木)을 생하여 유정하니 두려워할 정도는 아니다. 오직 불만스러운 것은 두 개의 신금(申金)이 인목(寅木)을 충(沖)하여 갑목(甲木)의 뿌리가 뽑혀버린 것인데, 이로 인해 이 사주는 약해졌다고 하겠으니 오히려 임수(壬水)가 신금(申金)을 설(洩)하여 갑목을 생하는 구조가 반갑다 하겠다.
병오(丙午)운에 들어서 비견인 병화(丙火)가 재성인 신금(申金)을 보내버리니 국자감에 입학하여 보름하였으며, 등과하였다. 정미(丁未)운에는 정화(丁火)가 임수(壬水)와 합하여 가는 바람에(合去) 세 차례에 걸쳐 춘위에 나아갔으나 낙방하였다. 무신(戊申)운에 들어 무토(戊土)가 임수(壬水)를 극하여 보내버리고(剋去) 세 개의 신금이 인목을 충하여 완전히 날려버리니 노상에서 죽었다.
이 사주의 임수(壬水)는 갑목(甲木)의 원신이므로 결코 손상을 입어서는 안되는데, 이 임수가 손상을 입었으니 갑목 혼자서는 외로우므로 어찌 힘이 있겠는가. 무릇 사주에 살이 하나 있어 용신인 인성을 돕는 형태의 사주에서 가장 꺼리는 것은 그 살을 제어하는 것이다.
1. 병화일간이 지지에 인목을 두어 득지하였다. 일간 주변으로 시간에 병화, 월간에 갑목을 두어 득세까지 한 모양새로 보인다. 월지도 진토를 두어 득령한 것은 아니나, 갑목의 강한 뿌리가 되어준다.
2. 일지 인목이 신금과 쟁충하고 있는 것은 갑목(甲木)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인중병화(寅中丙火)가 신중임수(申中壬水)와 쟁충하여 병화(丙火)의 뿌리가 흔들리는 것으로 보인다.
3. 때문에 일지 인목이 쟁충당하여, 일주가 약하므로 이 명식은 신약하다. 용희신은 화목(火木)이 된다.
4. 명식은 월주 - 연주는 토생금 - 금생수 - 수생목으로 상생유통(相生流通)되어 비견으로 흐르는 구조가 매우 좋다고 보인다. 연주의 임신(壬申)도 지생천(地生天)의 조합이며, 월주의 갑진(甲辰)은 갑자(甲子)와 비슷한 지생천(地生天)이며, 일주의 병인(丙寅) 역시 지생천(地生天)으로, 시주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명식의 흐름이 자연스럽다. 유일한 단점은 병화가 뿌리내리고 있는 인목이 신금으로부터 쟁충당하고있는 점인데, 이 명식의 대운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인목(寅木)의 방향이라고 보인다.
5. 을사(乙巳)대운에서 사화(巳火)는 사신합(巳申合)으로 신금을 묶어 인신충(寅申沖)으로 부터 인목을 구해낸다. 병오(丙午)대운은 강력한 비견대운으로 재성을 극하는 용신대운이다. 정미(丁未)대운은 정화(丁火)는 정임합(丁壬合)되는데, 용신이 희신으로 바뀌는 평이한 대운으로 보인다. 무신(戊申)대운이 되면 신금(申金)이 지지에 3개가 되어 인목(寅木)은 충거(沖去)된다. 좋지 않은 대운이다.
'적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지총론(干支總論) _ 갑신(甲申), 무인(戊寅), 경인(庚寅), 계축(癸丑)_1 (0) | 2023.03.07 |
---|---|
간지총론(干地總論)_간지암합(干地暗合)_무자, 신사, 정해, 임오일주 (0) | 2023.03.05 |
간지총론(干支總論) _ 지생천(地生天) _ 지지가 천간을 생하는 일주_1 (0) | 2023.03.04 |
간지총론(干支總論) _ 천합지합(天合地合) _ 2 (0) | 2023.03.04 |
간지총론(干支總論)_천합지합(天合地合)_1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