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흉 2

3. 길흉(吉凶) _ 희신(喜神)과 기신(忌神)의 역할_2

흉(凶) 何知其人凶 _ 하지기인흉 _ 그 사람이 흉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忌神輾轉攻 _ 기신전전공 _ 기신이 돌아가며 공격하기 때문이다. 기신(忌神)이란 일주와 용신에 손해를 끼치는 신(神)을 말한다. 따라서 사주팔자 중에 우선 희신이 있어야만 기신이 무력해진다. 기신은 병(病)이 되고 희신은 약(藥)이 되는 것이니, 병이 있는데 약이 있으면 길(吉)하고 병이 있는데 약이 없으면 흉(凶)하다. 일생동안 길함은 적고 흉함이 많은 것은 모두가 기신이 세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월(寅月)에 태어난 사람이 인목(寅木)의 지장간 중 갑목(甲木)을 용신으로 삼지 않고 무토(戊土)를 용신으로 삼으면, 갑목(甲木)은 당령한 기신(忌神)이 된다. 일주의 의향을 살펴보아 혹시 화(火)를 희신으로 하여 목(..

적천수 2023.06.22

3. 길흉(吉凶) _ 희신(喜神)과 기신(忌神)의 역할_1

길(吉) 何知其人吉 _ 하지기인길 _ 그 사람이 어찌 길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喜神爲輔弼 _ 희신위보필 _ 용신이 희신의 보살핌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아래 임철초의 설명 중에 일부 용희신에 대한 설명은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주원국을 구성하는 오행은 용신(用神), 희신(喜神), 기신(忌神), 구신(仇神), 한신(閑神)으로 나누는데, 원국의 균형을 위해 가장 중요한 힘이 용신이며 이 용신을 돕는 힘이 희신이고 용신을 극하는 힘이 기신이 되고 희신을 극하는 힘이 구신이 된다. 한신은 기신을 극하는 힘이면서 동시에 용신을 설기하는 힘이므로 개념적으로는 중립적인데, 한신이 좋은 역할을 하는 지, 그렇지 않은 지에 대해서는 사주원국의 구조를 따져봐야 한다. 이상의 개념으로 원국의 신약, 신강을..

적천수 2023.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