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격국 2

용신격국(用神格局)_3

1. 월령에서 용신격국을 삼는다. 월령은 巳火로 지장간은 戊(초기)-庚(중기)-丙(본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지장간 중에 천간에 투출한 힘이 없으므로, 격국은 巳火의 본기인 칠살 丙火를 격으로 삼는다. 칠살격인데 칠살, 식신, 일간이 모두 왕성한 경우에는 삼대축복이 있다고 한다. 위 사주는 壬水식신이 있지만 인목인 병지를 깔고 앉았고, 돕는 자가 없다. 식신의 역할은 없으므로 있으나 마나이다. 그러므로 축복의 조건이 빠진 셈이다. 결론적으로 용신격국은 칠살격의 패격으로 분류된다. 위 명식은 사중병화(巳中丙火)를 용신으로 삼았다. 경금일간이 양 옆의 을목과 을경합하고, 지지의 사유합이 모두 금(金)으로 향하는 합(合)의 방향을 고려하면 화(火) 관성을 용신으로 잡는 것도 타당하다고 본다. 2. 월령에서 ..

자평진전 2023.08.05

용신격국(用神格局)_1

먼저 용신격국에 관한 자평진전의 원문을 살핀다. 한자가 잘 이해되지 않으면 번역된 것을 읽는 것으로도 족하지만, 내가 생각할 때 한자를 조금 안다면 원문을 보고 번역을 보는 것이 좀 더 개념을 이해하는 데 쉽다. 한자를 한글로 번역하는 가운데, 말이 길어지고 말이 덧붙여져 원래 원문에서 강조하려는 내용이 잘 못 전달될 수 있다. 八字用神 專求月令 以日干配月領地支 而生剋不同 格局分焉 財官印食 此用神之善而順用之者也 煞傷劫刃 用神之不善而逆用之者也 當順而順 當逆而逆 配合得宜 皆爲貴格 팔자의 용신격국은 오로지 월령에서 구한다. 일간과 월령의 생극관계는 팔자마다 다르다. 이로 인해 용신격국이 달라진다. 월령이 재관인식(財官印食)인 재성, 정관, 인수, 식신이면 좋은 것이므로 이는 순용하며, 월지가 살상겁인(煞傷劫刃..

자평진전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