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3. 길흉(吉凶) _ 희신(喜神)과 기신(忌神)의 역할_2

국건사 2023. 6. 22. 20:33

흉(凶)

 

何知其人凶 _ 하지기인흉 _ 그 사람이 흉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忌神輾轉攻 _ 기신전전공 _ 기신이 돌아가며 공격하기 때문이다.

 

 

기신(忌神)이란 일주와 용신에 손해를 끼치는 신(神)을 말한다. 따라서 사주팔자 중에 우선 희신이 있어야만 기신이 무력해진다. 기신은 병(病)이 되고 희신은 약(藥)이 되는 것이니, 병이 있는데 약이 있으면 길(吉)하고 병이 있는데 약이 없으면 흉(凶)하다. 일생동안 길함은 적고 흉함이 많은 것은 모두가 기신이 세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월(寅月)에 태어난 사람이 인목(寅木)의 지장간 중 갑목(甲木)을 용신으로 삼지 않고 무토(戊土)를 용신으로 삼으면, 갑목(甲木)은 당령한 기신(忌神)이 된다. 
일주의 의향을 살펴보아 혹시 화(火)를 희신으로 하여 목(木)을 설(洩)하여 화(化)하거나, 금(金)을 희신으로 하여 목(木)을 극(剋)하여 제(制)한다면, 사주가 안정되어 편안할 것이다. 또한 세운이 희신을 돕고 기신을 눌러준다면 흉함을 길함으로 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세운이 희신을 돕지않고 기신을 눌러주러 오지도 않고 기신과 무리를 이루지도 않는다면 한평생을 평범하고 무능하게 살며 발하여 이를 여지는 전혀 없다 할 것이다.
만약 화(火)를 이끌어 변화함이 없고 금(金)이 극(剋)하여 제(制)함이 없이 다시 수(水)의 생함을 만났는데 세운에서 목(木)이 무리를 이루어 기신을 돕는다면, 일주의 희신을 손상시키고 돌아가며 공격해댈 것이니 재난이 겹쳐 발생할 것이고 늙어서까지 길한 일은 없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목(木)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니 다른 오행(五行)들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추론하면 될 것이다.

 

 

1. 사주에 병(丙)이 있는데 약(藥)이 없는 경우

 

"병화일주가 인월(寅月)에 태어나 인성이 당령했고, 시지(時支)에서 만난 양인(陽刃)은 왕하고, 천간에 투출한 갑을목(甲乙木) 모두 왕하다. 사주에 금(金)은 보이지 않고, 인목과 해수는 인해합(寅亥合)이 되어 목(木)으로 화(化)하며, 자수는 자오충(子午沖)을 당해 깨지니 관성은 쓸모가 없어진다. 반드시 월간(月干)의 무토를 용신으로 삼아야 한다. 따라서 기신(忌神)은 갑목(甲木)이 되며, 해수와 자수가 오히려 왕목(旺木)을 생(生)하여 더욱 왕하게 만드니 이른바 기신이 돌아가며 공격한다고 할 것이다.
초운인 정축(丁丑)운에 용신이 생조를 받아 물려받은 재상이 십여만에 이르렀고 그 즐거움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졌으나, 마침내 병자(丙子)운으로 돌아들자 화(火)는 통근하지 못해 부모를 모두 여의었고 화재를 만났다. 을해(乙亥)운에는 수목(水木)이 함께 왕하니 또 다시 화재를 만났으며, 세 명의 처와 네 명의 아들을 먼저 보내고 물에 빠져 죽었다."

 

1. 병화일간이 일지에 자수를 두어 실지하였지만 시간에 겁재 오화를 두어 뿌리를 내렸고, 월령을 차지하고 천간에 투출한 목(木) 인성의 생조가 튼튼하다. 신강한 명식이다.

2. 지지의 자수와 해수는 자오충(子午沖), 인해합(寅亥合)으로 그 힘이 약한데다, 이 명식의 가장 강력한 힘인 목(木)에게 인화(引化)된다. 수(水)의 기운을 발휘하기 매우 힘들다. 반면에 월간의 식신 무토의 역할이 이 명식에서 가장 중요한데, 강력한 목(木)의 생조로 인해 왕성한 화(火)를 설기할 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변의 강력한 목(木) 인성의 극(剋)을 버티기 쉽지않다.

3. 명식의 강력한 목화(木火)의 기운에 균형을 맞춰줄 용희신은 금토(金土)가 된다. 그러나 금(金)은 지장간에도 없고, 토(土)는 앞에서 설명했듯이 원국 내에서 힘이 약하다. 이런 경우 대운에서 용희신이 경신(庚申), 신유(辛酉)와 같은 강력한 힘으로 오는 것이 필요한데, 그렇지 못하다. 초운의 정축(丁丑)대운은 축토가 해자축(亥子丑)의 방합으로 강한 수국(水局)을 이루어 화(火)의 기운에 대적할만한 균형점을 찾는다. 그러나 병자(丙子)대운이 되면 자수는 일지 자수와 마찬가지로 자오충(子午沖)에 의해 충거(沖去)되어, 화(火)의 기운을 더욱 북돋는다. 을해(乙亥)대운에서 해수는 인해합(寅亥合)으로 기반하여 목(木)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만약 갑술(甲戌)대운이 왔다하더라도 술토는 인오술(寅午戌) 화국(火局)을 이루어 화(火)의 기운이 더욱 강하게 된다. 계유(癸酉)대운이 되어도 계수는 무계합(戊癸合)으로 금(金) 재성을 극거(剋去)한다.

 

 

2. 운(運)이 희신을 도와 기신을 눌러주지 않는 경우

 

"병화일주가 인월(寅月)에 태어나 화(火)는 상(相)에 해당하지만, 목(木)이 아직 어리니 일주가 왕(旺)하다고 할 수는 없겠다. 축시(丑時)에 태어나 식상이 일주의 원신을 훔쳐가니 인목을 용신으로 삼는다. 불만스러운 것은 월간(月干)의 경금이 인목을 타고 앉아 기신이 된다는 것이다. 어린 목(木)이 금(金)을 만나 화(火)는 허(虛)하고 설(洩)을 당하는 형상이다.
초운인 기축(己丑)과 무자(戊子)운에 금(金)을 생하고 화(火)를 설하니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외롭고 고달프기가 이루 감당할 수 없을 정도였다. 정해(丁亥)와 병술(丙戌)운은 화(火)가 서북방에 있으니 기신인 금(金)을 극하여 보내기가 불가능하여 온갖 고난을 다 겪었으나 미약하나마 가업을 일구었다. 마침내 을유(乙酉)운으로 바뀌자 간지가 모두 기신인 금(金)으로 화(化)하여 처자식을 잃고 홍수를 만나 죽고 말았다."

 

1. 병화일간이 월지에 인목을 두어 득령하였다. 연지의 사화가 병화의 뿌리가 되어주어 병화는 나름대로의 힘을 갖추었는데, 전체적으로는 화(火)를 설기하는 토금(土金)의 힘이 명식에서 더욱 강한 힘으로 보인다. 신약한 명식이다.

2. 식상이 강한 신약한 명식으로 목(木) 인성이 용신이 된다. 다만 명식은 토(土) 뿐만 아니라 금(金)도 강한 힘으로 목(木)을 극하게 되므로 용신이 힘을 발휘하기 어려운 구조다.

3. 대운의 흐름을 살펴보면 희신인 수(水)는 무자(戊子) - 정해(丁亥)와 같이 상생의 구조가 아닌 조합으로 찾아오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용신인 금(金) 역시 을유(乙酉) - 갑신(甲申)대운과 같이 지지에서 천간을 극하는 절각대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