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부귀빈천(富貴貧賤)_2.관성(官星)의 역할_2

국건사 2023. 6. 21. 20:37

천(賤)

 

何知其人賤 _ 하지기인천 _ 그 사람이 천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官星還不見 _ 관성환불현 _ 그것은 관성이 다른 신(神)의 도움을 받지 못해 제 구실을 제대로 하지 못함이다.

 

관성이 사회적 성공을 만드는 힘으로, 명식에서 관성의 힘이 잘 발휘되지 않는 경우를 천(賤)하다고 본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식상과 재성이 지배하는 세상으로 관(官)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측면이 있다. 임철초는 관성을 상, 중, 하로 나누었는데 이것을 간단히 말하면 관성 - 일주 - 인성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고, 일주-인성과 재성-관성이 생(生)하여 균형을 이루는 것이 그 다음이며, 관성과 일주가 극(剋)을 당하여 힘을 잃은 상태가 그 다음이라는 의미다. 세부적인 해석은 참고하되, 굳이 외워서 적용할 필요는 없겠다.

 

부귀한 가운데 천함이 없다고 할 수 없고, 빈천한 가운데 귀함이 없다고 할 수 없으니, 천(賤)이란 글자 하나를 가지고 이해하기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만약 일주가 약하고 관성은 왕성한데, 인성을 용신으로 삼아 관성을 이끌어 화(化)하지 못하고 오히려 상관을 용신으로 삼아 강제로 관성을 극하여 제어하는 경우이거나, 
만약 일주가 약하고 인성은 가벼운데, 관성이 인성을 생해주지 못하고 오히려 재성이 인성을 무너뜨리는 경우이거나,
만약 재성은 무겁고 일주는 가벼운데, 비겁이 일주를 돕지는 못하고 오히려 비겁이 재성을 겁탈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에 부합하는 격(格)의 사주는 성현들의 교훈을 잊어버리고 조상과 부모의 음덕을 생각하지 않음으로써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재앙이 발생하고, 그 재앙은 자손에게까지 미치게 될 것이다.

 

만약 일주가 약하고 인성은 가벼운데, 관성이 왕성하고 재성이 없거나,
일주가 왕성하고 관성은 약한데 재성이 다시 나타난다면
이런 경우에 부합하는 격(格)의 사주는 가난해서 살림이 어렵더라도 그 절개를 굽히지 않을 것이고, 많은 재물과 높은 벼슬이 유혹하더라도 그 지조를 버리지 않을 것이며, 이치에 닿지 않으면 행하지 않을 것이고, 올바른 것이 아니면 취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원래 부귀를 탐하고 황금골짜기에 연연하는 사람은 끝내 한순간에 비참한 경우를 당할 것이고, 가난한 현실에 만족하는 사람은 마침내 천년만년 그 이름을 휘날릴 것이라는 사실을 잘 알아야 할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등급의 관성이 나타나지 않는 이치가 있는 것이다.

 

만약 관성이 가볍고 인성이 무거워 일주가 왕성하거나,
혹은 관성이 무겁고 인성이 가벼워 일주가 약하거나,
혹은 관성과 인성이 균형을 이루었으나 일주가 휴수(休囚)이면,
이는 상등관성(上等官星)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만약 관성이 가볍고 비겁은 무거운데 재성이 없거나,
혹은 관살이 무거운데 인성이 없거나,
혹은 재성이 가볍고 비겁이 무거운데 관성이 암장되어 있으면,
이는 중등관성(中等官星)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만약 관성이 왕하여 인성을 반기는데 재성이 인성을 무너뜨리거나,
혹은 관살이 무겁고 인성이 없는데 식상이 강제로 관살을 극하여 제하거나,
혹은 관성이 많아 재성을 꺼리는데 재성이 국(局)을 이루거나
혹은 관성을 반기는데 관성이 다른 신(神)과 합(合)을 이루어 상관으로 변화하거나,
혹은 관성을 꺼리는데 다른 신(神)이 관성과 합(合)을 이루어 관성으로 변화하면,
이는 하등관성(下等官星)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1. 관성이 무겁고 인성이 가벼워 일주가 약한 경우 (上等官星不見)

 

"정화가 한겨울인 자월(子月)에 태어나 월간(月干)에 임수가 투출했고, 지지는 완전한 해자축(亥子丑)의 북방을 이루었으니 관성의 왕(旺)함이 극에 달했다. 진토는 습토이니 수(水)를 극하여 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화(火)만 어둡게 할 뿐이므로 일주는 허약하다고 하겠다.
인성인 갑목은 시들고 메말라 스스로 자신을 돌볼 겨를도 없으며, 또한 축축한 나무이니 불꽃이 없는 화(火)를 생(生)할 수 없으므로 맑기는 하지만 메마른 형상이다. 관성이 오히려 참되지 못하다고 하겠다. 반가운 것은 사주에 금(金)이 없다는 것이니 기세가 순수하고 맑다 할 것이다.
그 사람이 배워서 익힌 지식은 참되고 순수하며 세상을 살아가면서 구차함이 없었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으로 세월을 보내고, 고통을 견디며 가난하지만 청렴하게 살았으니 '상등관성(上等官星)이 나타나지 않는다'라고 할 것이다."

 

1. 정화일간이 지지가 해자축(亥子丑) 방합, 자축합(子丑合), 자진반합(子辰半合)으로 모두 수(水)로 향해가는 힘들의 합(合)으로만 이루어졌다. 이 경우는 지지를 모두 수국(水局)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천간의 정임합(丁壬合)은 임수가 지지에 강력한 뿌리를 두어 합화(合化)가 되지 않으며, 연간 정화의 도움을 기대하기 어려운 합으로 보인다. 목화(木火)는 힘이 없고, 명식은 수(水)가 유일하게 힘을 갖는 명식이다.

2. 용희신은 토화(土火)로 본다. 목(木)도 강력한 수(水)를 설기할 수 있다면 좋은 기운으로 쓰일 수 있지만, 지지의 수국(水局)은 단단하여 목(木)이 힘을 발휘하기 어려운 구조다. 토(土)는 조토만이 좋은 기운으로 작용한다. 화(火)는 지지에서 천간에 힘을 실어주어야 하는데, 어쨌든 화(火) 역시 힘을 발휘하려면 병오(丙午)대운 쯤 되는 강력한 힘으로 들어오는 것이 좋아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병오(丙午)대운은 월주 임자(壬子)와 천충지충(天沖地沖)으로 충거된다.  

3. 대운의 흐름이 우호적이지 않은 가운데, 명식의 주인공은 강한 수(水) 관성을 자신의 자존심을 지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간 것으로 보인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마음먹기에 달린 것으로 읽을 수 있겠다.

 

 

2. 신약하고 인성이 가벼운데 재성이 인성을 무너뜨리는 경우 (下等官星不見)

 

"신금이 진월(辰月)에 태어나 봄은 저물고 불을 맞이하니 신약하다. 이치대로 따지자면 마땋이 인성인 진토(辰土)를 용신으로 삼아 살을 이끌어 변화시켜야 할 것이나, 재성이 인성을 무너뜨린다.
계수는 정화를 극(剋)하고 해수는 사화를 충(沖)하니 마치 살(殺)을 제(制)하여 유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봄철의 수(水)는 휴수(休囚)의 상태이니 무력하고 목화(木火)가 함께 왕(旺)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하는 소리이다. 수(水)는 화(火)를 극(剋)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목(木)을 생(生)하고 금(金)을 설(洩)하러 간다고 하겠다. 재관(財官)은 원래 일주를 영화롭게 하는 것이지만, 일주가 이를 감당할 수 없다면 비록 마음 속으로는 누리고 싶어하더라도 실제로 무슨 도움이 될 수 있겠는가 말이다.
미천한 출신으로 처음에는 이원에서 연극을 배웠으나 목이 상해 말을 못하게 되자 벼슬아치를 따라갔다. 사람이 극히 영리하였고 기회가 닿으면 재빨리 이를 잘 이용하였으며, 벼슬아치를 따라가 모신 지 수년 만에 재물을 모은 후 주인을 배신하고 마침내 돈을 내고 종구품의 벼슬자리를 얻었다. 사람들을 협박하여 재물을 모으고, 선악을 가리지 않고 권력을 휘둘렀으니, 나중에는 법에 어긋나는 짓을 하여 벼슬을 잃고 그로 인해 목이 달아나게 되었다."

 

1. 신금일간이 월지에 인성 진토를 두어 득령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원국은 식상 - 재성 - 관살이 모두 지지에 뿌리를 두고 투출하였으므로 신약한 명식으로 본다.

2. 이 명식에서 가장 강한 힘은 목(木) 재성이며, 이 목(木)의 생조를 받는 화(火) 역시 왕성한 힘이다. 이 명식에서 가장 좋지 않은 힘은 수(水) 식상으로 화(火) 관성의 뿌리가 되는 지지의 사화(巳火)를 고립시키며, 신약한 신금을 강하게 설기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하면 식재관이 유통되는 흐름이 될 수 있었지만, 명식은 식상이 관살을 극하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좋지 않다. 신약해서 인성을 반기는데, 재성이 왕성하여 인성을 무너뜨리는 경우에 해당되는 명식에 해당된다.  

3. 용희신은 금토(金土)로 삼는다. 계묘(癸卯) - 임인(壬寅)대운은 기구신 대운으로, 식상생재되는 기운이 강하게 작용한다. 신축(辛丑)대운은 좋은 대운이다. 경자(庚子)대운이 오면 금(金) 비겁을 설기하며, 수(水) 식상이 강화되는 대운으로 관살을 강하게 극(剋)하게 된다. 좋지 않은 대운이다. 

4. 식상이 관성을 극하는 관계에 있다는 것은 사회적 성공과 개인적인 욕망은 양립하기 어렵다는 의미로 음미할 만한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