化得眞者只論化 _ 화득진자지론화 _ 천간이 합을 이루어 합화(合化)되었다면, 화상(化象)으로 논하되
化神還有幾般話 _ 화신환유기반화 _ 화신(化神)에도 또는 그 몇 가지 이야기가 있다.
천간합은 갑기합화토(甲己合化土), 을경합화금(乙庚合化金), 병신합화수(丙辛合化水), 정임합화목(丁壬合化木) , 무계합화화(戊癸合化火)로 외워서 적용하는 것은 단순하나, 그 원리나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 사주를 보는 것에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도 이 부분에 대한 지식이 깊지 않지만, 어떤 내용인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한다.
임철초의 해석을 살펴본다.
合化之原 見於內經素問 黃帝問五運之始 岐伯引太史冊文曰 始於戊己之分 戊己者 奎壁角軫 天地之門戶也
天門在戌亥之間 奎壁之分 地戶在辰巳之間 角軫之分 凡陰陽皆始於辰 五運起於角軫者 亦始於辰也
"합화의 기원은 황제내경 소문편에서 볼 수 있는데, 황제가 오운(五運)의 시작에 대해서 묻자, 기백이 태사책문을 인용하여 말하기를, 무기(戊己)가 나누어지는 것으로 부터 시작된다. 무기(戊己)라는 것은 규벽(규수와 벽수)과 각진(각수와 진수)으로서, 천지의 문호이다.
천문(天門)은 술(戌)과 해(亥)의 사이에 있으며 규수(奎宿)와 벽수(壁宿)로 나뉘고, 지호(地戶)는 진(辰)과 사(巳)의 사이에 있어며 각수(角宿)와 진수(軫宿)로 나뉜다. 무릇 음양은 모두 진(辰)의 위치에서 시작되고, 오운(五運)은 각진(角軫)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니, 역시 진(辰)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사주 - 즉 태어난 연, 월, 일, 시는 우주의 질서와 인간과의 관계를 시간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러니까 사주를 보고 이 사람의 성격과 인생의 흐름을 추론할 수 있다는 생각은, 우주의 질서가 인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고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래서 명리학의 이론을 들어가다보면 결국 동양 천문학에 이르게 된다.
동양 별자리는 하늘전체를 중앙과 동서남북의 사방으로 구획하였다. 각 구역의 별자리는 신령스러운 동물의 형상에 맞추었는데, 중궁황룡(中宮黃龍), 동방창룡(東方蒼龍), 북방현무(北方玄武), 서방백호(西方白虎), 남방주작(南方朱雀)이 그것이다. 오행을 따져보면 동쪽이 목(木)에 해당되며, 북쪽은 수(水), 서쪽은 금(金), 남쪽은 화(火), 중앙은 토(土)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별자리를 3원(三垣) 28수(二十八宿)로 나누었다. 3원(三垣)이란 자미원(紫微垣) - 태미원(太微垣) - 천시원(天市垣)을 말한다. 여기서 '원(垣)'이란 본래 '담'이란 뜻인데, 이 별자리들이 담장 형태로 북극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붙인 별명이다. 28수는 달의 공전 주기인 항성월과 관련이 깊다. 달은 대략 28일을 주기로 지구 주위를 일주한다. 지구에서 보면 달은 매일 밤마다 별자리의 위치를 바꾸다가 28일쯤 지나면 다시 원래의 별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매일 밤 달이 머무는 대표적인 별자리를 선정하면 28개가 되고, 이것을 동서남북에 각각 일곱 개씩 배당하여 하늘의 구역을 나눈 것이 바로 28수이다.
- 동방청룡7수 : 각(角), 항(亢), 저(氐), 방(房), 심(心), 미(尾), 기(箕)
- 북방현무7수 : 두(斗), 우(牛), 여(女), 허(虛), 위(危), 실(室), 벽(壁)
- 서방백호7수 : 규(奎), 누(婁), 위(胃), 묘(昴), 필(畢), 자(觜), 삼(參)
- 남방주작7수 : 정(井), 귀(鬼), 유(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
임철초의 해석에서 "오운(五運)의 시작이 무기(戊己)가 나누어지는 것부터 시작된다. 무기(戊己)라는 것은 규(奎)-벽(壁)과 각(角)-진(軫)으로서 천지의 문호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서방(金)에서 북방(水)로 바뀌는 지점, 동방(木)에서 남방(火)로 바뀌는 지점에서 이것을 매개하는 토(土)의 역할이 있다는 것이다.
임철초가 설명하는 다음 구절은 내용은 간략하게만 소개한다. 위에서 언급한 고전에서 '음양(陰陽)과 오운(五運)은 진(辰)으로부터 출발한다'는 구절로부터 '최근 사람들은 단지 용(龍_辰土)을 만나야만 합화(合化)가 된다는 것만 알고서, 망령되게 이치가 아닌 것을 억지로 끌어다 붙이고 있으니, 웃음이 나올 뿐이다. (近人只知逢龍而化 妄生穿鑿 至爲可笑)'라고 말하고 있는데, 천간의 합이 이루어지는 조건을 월령에 진토(辰土)가 있을 때만 성립한다는 해석을 비판하고 있다.
이어지는 임철초의 해석은 천간의 합이 이루어지는 모양 - 化象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명식의 억부론적인 접근과 동일하므로 원문을 특별한 설명이 필요하지는 않다.
化象作用 亦須究其衰旺 審其虛實 察其喜忌 則吉凶有驗 否泰了然 非可專取生旺 執一而論也
如化神旺而有餘 宜洩化神之神爲用 化神衰而不足 宜生助化神之神爲用
"화상(化象)의 작용은 반드시 그 쇠왕을 탐구하고 그 허와 실을 분석아며 그 희기(喜忌)를 조사하여 관찰한다면,곧 길흉을 맞을 것이며 행복과 불행이 확실하게 나타날 것이니 오로지 생왕(生旺)되는 것만을 취하거나, 한 가지에만 집착하여 논하는 것은 안된다.
가령 화신(化神)이 왕성하여 유여하다면 마땅히 화신을 설기하고 있는 신을 용할 것이며, 화신(化神)이 쇠약하여 부족하다면 마땅히 화신을 생조하고 있는 신을 용하여야 한다."
위 구절은 천간이 합화(合化)된 화상(化象)의 경우라도 화신이 쇠하고 왕함을 깊이 연구하고 그 허함과 실함을 자세히 살펴 과연 반기고 꺼리는 것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아내 적용해야만 그 화(化)의 결과가 사주에 길하게 작용하는지 흉하게 작용하는지를 알 수 있다는 내용이다.
如甲己化土 生於未戌月 土燥而旺干透丙丁 支藏巳午 謂之有餘
再行火土之運 則太過而不吉也 須從其意向
柱中有水 要行金運 柱中有金 要行水運
無金無水 土勢太旺 必要金以洩之
火土過燥 要帶水之金運以潤之
"예를 들어, 갑기합화토(甲己合化土)가 되고 미술월(未戌月)에 태어났다면 토(土)는 메마르고 왕하다. 천간에 병정화(丙丁火)가 투출하고 지지에 사오화(巳午火)가 있다면 화신이 넉넉하다고 하는 것이다. 여기에 운(運)마저 화토(火土)로 흐른다면 화신(化神)이 지나치게 왕해져서 불길하다 하겠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사주의 의향을 보아 그 흐름에 따라야 한다. 사주 원국에 수(水)가 있다면 운은 금(金)운으로 흘러야 마땅하며, 사주원국에 금(金)이 있다면 운은 수(水)운으로 흘러야 마땅하다. 사주에 금(金)도 없고 수(水)도 없으며 토(土)의 세력이 아주 왕하다면, 운은 반드시 금(金)운으로 흘러 토(土)를 설해야 마땅하다. 사주 중에 화토가 지나치게 조열하면 당연히 수(水)를 동반한 금(金)으로 운이 흘러야 화신인 토(土)를 적셔 윤택하게 하니 좋다 할 것이다."
生於丑辰月 土濕爲弱 火雖有而虛
水本無而實 或干支雜以金水 謂之不足
亦須從其意向 柱中有金 要行火運 柱中有水 要行土運
金水並見 過於虛溼 要帶火之土運以實之 助起化神爲吉也
"만약 축진월(丑辰月)에 태어났다고 한다면 토(土)는 축축하고 약하다. 사주에 비록 화(火)가 있다 하더라도 그 화(火)는 허(虛)할 수 밖에 없다.
사주에 수기(水氣)는 원래 없지만 계절상 왕성한 절기가 되는데, 만일 간지에 금수(金水)라도 혼잡되어 있다면 화신(化神 - 이 경우는 土)이 부족한 것이 된다.
따라서 그 의향에 따라 주중에 금(金)이 있다면, 화운(火運)으로 행운(行運)할 수 있어야 하고, 주중(柱中)에 수(水)가 있다면 토운(土運)으로 행운할 수 있어야 한다.
금수(金水)가 둘 다 있으면, 지나치게 허습한 것이므로 화를 통반한 토운(土運)으로 행운(行運)하여 실(實)하게 하는 것이 필요한 바, 화신(化神)을 도와 일으켜 세울 수 있어야 길하기 때문이다."
至於爭合妬合之設 乃謬論也
旣合而化 如貞婦配義夫 從一而從 不生二心
見戊己是彼之同類 遇甲乙是我之本氣 有相讓之誼
合而不化 勉强之意 必非佳耦
見戊己多而起爭妬之風 遇甲乙衆而更强弱之性
甲己之合如此 餘可類推
"합화(合化)가 쟁합이나 투합이 된다고 하는 것은 잘 못된 이야기다.
이미 합을 이루고 합화(合化)했다면, 정조가 곧은 여자가 선량한 남편과 짝을 맺고, 한 사람을 끝까지 따르는 것과 같으므로, 두 가지의 마음이 생길 수가 없는 것이다.
무기(戊己)를 만났다면 그와 같은 종류의 기(氣)가 되며, 갑을(甲乙)을 만났다면 자신의 본기(本氣)가 되므로, 서로 양보하는 정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합을 이루었으나 합화가 되지 않았다면, 강압적인 의향이 있는 것이므로, 반드시 아름다운 짝이 아닐 것인바, 무기(戊己)를 많이 만난다면 쟁투의 흐름이 발생할 것이고, 갑을(甲乙)의 무리를 만난다면 강약의 성정에 대해 다시 살펴야 될 것이다. 갑기 합이 이와 같으므로, 나머지도 유추하면 될 것이다. "
'적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상(形象) _ 가종(假從) (0) | 2023.04.01 |
---|---|
형상(形象) _ 화상(化象) _ 천간(天干)의 오합(五合)_2 (0) | 2023.04.01 |
형상(形象) _ 종상(從象)-3 (0) | 2023.03.27 |
형상(形象) _ 종상(從象)-2 (0) | 2023.03.27 |
형상(形象) _ 종상(從象)-1 (0)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