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운세(運勢)_전충화호(戰沖和好)

국건사 2023. 6. 10. 16:47

何爲戰 何爲沖 何爲和 何爲好 _ 하위전 하위충 하위화 하위호 _ 무엇을 일러 전(戰)이라 하고, 무엇을 일러 충(沖)이라고 하고, 무엇을 일러 화(和)라고 하며, 무엇을 일러 호(好)라고 하는가.

 

1. 何爲戰

戰者剋也

如丙運庚年 謂之運剋歲

日主喜庚 要丙坐子辰 庚坐申辰 局中得戊己洩丙 得壬癸剋丙 則吉

如丙坐午寅 局中又無水土制化 必凶

전(戰)이란 극(剋)을 말한다.
예를 들어 병화운(丙火運)에 경금년(庚金年)이라고 하면 '대운이 세운을 극한다'고 한다.
일주가 세운의 경금(庚金)을 반긴다면 당연히 병화(丙火)는 자수(子水)나 진토(辰土)를 깔고 앉고 경금(庚金)은 신금(申金)이나 진토(辰土)를 깔고 있어야 하는데, 다시 사주원국에서 무기토(戊己土)를 얻어 병화(丙火)를 설하거나 임계수(壬癸水)를 얻어 병화(丙火)를 극하면 길하다 할 것이다.
만약 병화(丙火)가 인목(寅木)이나 오화(午火)를 깔고 앉아 있고, 사주원국에 수(水)나 토(土)가 없어 병화를 극(剋)하여 제(制)하거나 설(洩)하여 화(化)하지 못한다면 반드시 흉하다 할 것이다.

 

如庚運丙  謂之歲剋運

日主喜庚則凶. 喜丙則吉. 喜庚者要庚坐申辰. 丙坐子辰. 又局中逢水土制化者吉. 反此必凶. 喜丙者依此而推.

경금운(庚金運)에 병화년(丙火運)이라고 하면 '세운이 대운을 극한다'고 한다.
일주가 대운의 경금(庚金)을 반긴다면 흉하다 할 것이고, 일주가 세운의 병화(丙火)를 반긴다면 길하다 할 것이다.

경금(庚金)을 반긴다면 당연히 병화(丙火)는 자수(子水)나 진토(辰土)를깔고 앉고, 경금(庚金)은 신금(申金)이나 진토(辰土)를 깔고 있어야 하는데, 다시 사주원국에 수(水)나 토(土)가 있어 병화(丙火)를 극(剋)하여 제하거나, 설(洩)하여 화(化)한다면 길하다 할 것이지만 이와 반대 경우라면 반드시 흉하다 할 것이다. 병화(丙火)를 반길 경우도 이와같은 논리에 의해서 추론하면 될 것이다.

 

"병화가 오월(午月)에 태어나 왕성한 양인 즉 겁재가 당령했고, 지지는 인묘진(寅卯辰) 목방(木方)을 이루니 진토(辰土)는 목(木)을 따라간다. 경금(庚金)과 신금(辛金) 모두 통근하지 못했다.
초운이 계사(癸巳), 임진(壬辰)으로 흘러 금(金)이 생조를 받으니 가업이 넉넉했으며 그 즐거움이 저절로 따랐다. 신묘(辛卯)운이 되자 금(金)이 절각되어 재물은 흩어지고 고생이 많아 가업 중 십중팔구는 날아가벼렸다. 경운(庚運) 병인년(丙寅年)에 처를 잃었으니, 이는 경금(庚金)이 인목(寅木) 위에 앉아 절각되었기 때문이다. 병인년(丙寅年)은 세운이 대운을 극하고 또한 경금(庚金)은 절지(絶地)가 되고 병화(丙火)는 생(生)을 받으며 사주원국에 병화(丙火)를 극(剋)하여 제(制)하거나 설(洩)하여 화(化)하는 신(神)이 없으니, 같은 해 갑오월(甲午月)에 목(木)이 화(火)의 세력을 따라가게 되어 재앙이 끊이지 않았고 병을 얻어 죽었다."

 

1. 병화일간이 지지에 인묘진(寅卯辰) 목국(木局)과 인오반합(寅午半合)을 두었다. 왕성한 목화(木火) 기운으로 인해 명식은 신강하다.

2. 연간과 시간의 경신금(庚辛金)은 지지에 뿌리가 없고, 충과 합에 의해서 힘을 발휘하기 힘들다. 신왕한 명식으로 토금(土金)을 용신으로 삼는다. 

3. 초운의 계사(癸巳)대운에서 계수(癸水)는 목(木)으로 인화해버리고, 임진(壬辰)대운에서 진토(辰土)는 원국의 목국(木局)을 강화한다. 신묘(辛卯)대운과 경인(庚寅)대운에 대해 임철초는 절각대운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사실은 개두대운으로 금(金)이 목(木)을 극하는 대운이다. 왕성한 목(木)을 극하기에 금(金)의 세력이 너무 미약다고 보인다. 

4. 명식의 구조는 신왕한데 관살이 없어 재성이 극을 받는 형상이다. 대운에서 금을 생조할 기축(己丑)대운이 길할 것으로 보이는데, 경인(庚寅)대운 - 병인(丙寅)년 - 갑오(甲午)월의 목화(木火)가 왕성한 시기를 넘지 못한 것 같다. 

 

 

2. 何爲沖

冲者破也

如子運午年 謂之運冲歲

日主喜子 要干頭逢庚壬 午之干頭逢甲丙 亦無咎

如子之干頭遇丙戊 午之干頭遇庚壬 亦有咎

日主喜午 子之干頭逢甲戊 午之干頭遇甲丙 則吉

如子之干頭遇庚壬 午之干頭遇甲丙 則凶

충(沖)이란 파(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자수(子水)대운에 오화(午火)세운이라고 하면 '대운이 세운을 충한다'라고 한다.
일주(日主)가 대운의 자수(子水)를 반긴다면, 자수(子水)의 천간에는 당연히 경금(庚金)이나 임수(壬水)가 있어야 하는데, 이때 오화(午火)의 간두(干頭)에 갑목(甲木)이나 병화(丙火)가 있어서 역시 허물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자수(子水)의 간두(干頭)가 병화(丙火)나 무토(戊土)라면, 오화(午火)의 간두(干頭)가 경금(庚金)이나 임수(壬水)가 있다고 하더라도 역시 허물이 될 것이다.
한편으로 일주가 세운의 오화(午火)를 반기는데 자수(子水)의 간두(干頭)가 갑목이나 무토이고 오화(午火)의 간두(干頭)가 갑목(甲木)이나 병화(丙火)라면 길할 것이다.
만약 자수(子水)의 간두가 경금(庚金)이나 임수(壬水)라면 오화(午火)의 간두(干頭)가 갑목(甲木)이나 병화(丙火)라 하더라도 흉할 것이다.

 

如午運子年 謂之歲冲運

日主喜午 要午之干頭逢丙戊 子之干頭遇甲丙 則吉

如午之干頭遇丙戊 子之干頭遇庚辛 必凶 餘可類推

오화운(午火運)에 자수년(子水年)이라고 하면 '세운이 대운을 충한다'고 한다.
일주가 대운의 오화(午火)를 반긴다면 오화(午火)의 간두(干頭)에는 당연히 병화(丙火)나 무토(戊土)가 있어야 하는데, 이때 자수(子水)의 간두(干頭)가 갑목이나 병화(丙火)라면 길할 것이다.
만약 오화(午火)의 간두(干頭)에 병화(丙火)나 무토(戊土)가 있다고 하더라도 자수(子水)의 간두(干頭)가 경금(庚金)이나 임수(壬水)라면 반드시 흉할 것이다. 그 나머지도 이와같이 추론하면 될 것이다.
 

3. 何爲和

和者合也

如乙運庚年 庚運乙年 合而能化 喜金則吉

合而不化 反爲羈絆 不顧日主之喜我 則不吉矣

喜木亦然. 所以喜庚者, 必要庚金得地. 乙木無根. 則合化爲美矣.

화(和)란 합(合)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을목운(乙木運)에 경금년(庚金年) 혹은 경금(庚金運)에 을목년(乙木年)이 만나 합(合)을 이루어 능히 화(化)할 경우에, 일주가 금(金)을 반긴다면 길할 것이다.
하지만 합(合)하되 화(化)를 이루지 못한다면 오히려 재갈을 물려 얽어매는 꼴(기반_羈絆)이 되어 일주가 자기를 반기고 있다는 사실을 돌아보지 않을 것이니 길하지 못할 것이다. 
목(木)을 반길 경우 또한 마찬가지다. 경금(庚金)을 반길 경우에는 반드시 경금(庚金)이 지지에 그 뿌리를 얻어야 하고, 을목(乙木)은 뿌리가 없어야 한다. 이렇게 되어야만 합(合)하여 화(化)하는 것의 아름다움이 있는 것이다. 

 

若子丑之合. 不化亦是剋水. 喜水者, 必不吉也.

만약 지지의 자수(子水)와 축토(丑土)의 합(合)이라면 화(化)를 이루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수(水)를 극하게 되니, 일주가 수(水)를 반길 경우라면 반드시 길하지 못할 것이다.

 

4. 何爲好

好者類相同也

如庚運申年 辛運酉年 是謂眞好

乃支之祿旺 自我本氣歸垣 如家室之可住

호(好)란 무리가 서로 하나가 됨을 말한다.
예를 들어 경금운(庚金運)에 신금년(申金年) 혹은 신금운(辛金運)에 유금년(酉金年)이라면 이것이 바로 참된 호(好)라고 한다.
이것은 지지에 녹왕(祿旺) 즉 비겁이 있어 나 자신의 본기가 담장 안으로 돌아오는 것이니, 마치 한 가족이 함께 사는 것과 마찬가지다. 

 

如庚運辛年 辛運庚年 乃天干之助 如朋友之幇扶 究竟不甚關切

만약 경금(庚金)운에 신금년(辛金年) 혹은 신금(辛金)운에 경금년(庚金年)이라면 천간끼리 서로 돕는 것이니, 마치 친구끼리 패거리를 만들어 돕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끝까지 그 관계가 끊어지지 않을 만큼 두터운 것은 아니다.

 

必先要旺運通根 自然依附爲好

如運無根氣 其見勢衰而無依附之情 非爲好也

따라서 반드시 먼저 왕성한 운이 통근해야만 자연스럽게 그것에 의지할 수 있으니 호(好)라 할 것이다. 
만약 대운의 뿌리가 기운이 없다면 그 세력이 쇠약하므로 이를 보고 의지하고 싶은 마음은 생기지 않을 것이니 호(好)라 할 수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