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평진전

용신격국(用神格局)_4

국건사 2023. 8. 5. 14:24

4. 월령이 삼합이 되는 경우 합오행으로 용신격국을 삼는다.

 

임수일간이 식신월인 寅월에 났으니 식신격으로 분류하기 쉽다. 그러나 지지에 寅午戌 화국(火局)이 있고, 연간에 寅 중의 병화도 투출했으므로 재성격이다. 재성격의 잣대로 팔자를 보면, 재성은 무겁고 비겁은 약한 재중비경(財重比輕)에 재다신약(財多身弱)이니 패격이며, 식신이 재성을 생하는 재봉식생(財逢食生)이 되어 성격으로 볼 수있지만 신약하기 때문에 패격이다. 또한 재성격에 인수를 차고 있는 재격패인(財格佩印)의 경우 인수가 나를 도우니 귀하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월간의 경금편인은 연월에서 화금상전(火金相戰)이 되고 앉은 자리가 절지(絶地)이니 아무런 역할을 할 수 없다. 재성격을 보는 어떤 기준을 적용해도 패격이니 문제가 있는 팔자이다.
명주는 1999년(丁亥운 己卯년)부터 바람이 났고, 2003년(丁亥운 癸未년)에 별거에 들어갔다. 2009년 현재 남편은 생활능력이 없어 바람난 부인이 벌어다 주는 돈으로 자식과 함께 생활하고 있고, 본인은 일주일에 한번씩 자식을 만나러 다니는 생활을 하고 있다. 팔자의 지지 午, 寅, 戌, 辰에는 모두 戊己관살이 숨어 있으니 관살혼잡인데 일간은 신약하다. 이는 남편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짐을 말한다. 재성격의 패격에 관살혼잡, 탁한 생활로 몰고가는 사주의 성분이다.

 

지지의 인오술화국을 이루고, 연간에 병화가 투출하였으므로 재성격이다. 임수일간을 돕는 힘은 경금 편인 하나 밖에 없는데, 이 경금은 화 재성의 극에 의해 힘이 전혀 없다. 술토의 지장간인 신금에 뿌리를 두려하지만, 술토는 인오술 화국의 일원이 되어 버렸다. 재성격의 신약사주다.

재성이 중첩된 사주로, 재중용인격(財中用印格)이 되는데, 경금은 앞서 설명한 대로 힘이 전혀 없다. 이런 경우에는 비겁도 용신의 역할을 하는데, 임수 역시 지지의 칠살의 극에 의해 힘이 없다. 용신이 되어 줄 두 힘이 모두 원국 내에서 힘을 발휘하기 어려운 구조다. 丁亥대운은 정임합(丁壬合)과 인해합(寅亥合)으로 인해 대운의 힘이 모두 목(木) 식상이 왕성해진다. 신약한 명식으로 목(木) 식상의 기운이 강해지는 것은 반가운 일은 아니다.

 

 

월령이 삼합, 방합, 육합이 되는 경우 용신격국을 정한 예

 

가. 방합이 되는 경우는 월령을 그대로 격국을 삼는다.

亥子合으로 亥중의 壬水를 취하여 상관격이 된다. 

일반적으로 해자(亥子)로는 방합을 인정하지 않으나, 지지의 왕성한 수(水) 기운을 따라 해중임수를 용신격국으로 삼았다.

 

 

나. 삼합이 되는 경우, 삼합의 자가 모두 있지 않은데 월령이 子午卯酉 사정(四正)이 아닌 반합이면 월령을 취해 격국을 삼는다.

 

예시로 든 1번, 2번의 예는 亥卯未로 삼합의 자를 모두 갖추었는데, 왕지가 월령에 위치하지 못해 삼합을 격국으로 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亥卯가 되지만 亥를 취해 정관격

 

卯未가 되지만 未를 취해 정관격

 

寅午가 되지만 寅을 취해 인수격

 

巳酉가 되지만 酉를 취해 인수격

 

申子가 되지만 申을 취해 상관격

 

 

다. 삼합의 자가 모두 있는 경우는 월령을 기준으로 격국을 삼았다. (왕지가 월령에 위치한 경우)

 

亥卯未가 되고 卯를 취해 식신격

 

라. 월령이 육합을 하는 경우는 격국 선정에 고려하지 않는다.

'자평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신격국(用神格局)_6  (0) 2023.08.06
용신격국(用神格局)_5  (0) 2023.08.05
용신격국(用神格局)_3  (0) 2023.08.05
용신격국(用神格局)_2  (0) 2023.08.04
용신격국(用神格局)_1  (0)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