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천간(天干)_을목(乙木)

국건사 2022. 12. 19. 16:17

모든 오행은 음양으로 구분된다.

"무릇 음양이 있고나서 오행이 생긴 것이니 어떤 오행이든지 음양이 존재하는 것이다. 예컨데 목에는 갑과 을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목의 음양인 것이다. 갑은 을의 기(氣)이고, 을은 갑의 질(質)이다. 하늘에서 생기가 되어 만물 가운데 유행하는 것은 갑이다. 땅에서 생기를 받아들이는 것은 을이다"

 

蓋有陰陽, 囚生五行而五行之中, 各有陰陽, 卽以木論, 甲乙者, 木之陰陽也. 乙之氣, 乙者甲之質, 在天爲生氣, 而流行於萬物者, 甲之乙, 萬物之所而有枝葉乙之甲, 而萬木枝枝葉葉者, 乙之乙也. 方其爲甲, 而乙之己備, 及其爲乙, 而甲之質乃堅, 有是甲乙, 而木之陰陽具矣.

 

이 부분에서 가장 해석이 어려운 부분이 "갑은 을의 기이고, 을은 갑의 질이다"라는 부분이다. 기는 통상적으로 우주적 생명력을 가리키는 말이고, 질은 사물의 속성을 의미한다. 때문에 갑목은 양간으로서 발산하는 운동성을 나타내고, 을목은 음간으로서 응축하는 수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갑목은 발산하는 에너지가 충만한 상태로 다른 에너지의 공급이 더 이상 필요가 없는 상태 (五陽從氣不從勢)로 보아야 하고, 음간은 수렴을 하는 상태로 스스로의 에너지보다 주변 에너지의 공급(五陰從勢無情義)에 따를 수 밖에 없다. 간단히 말하면 양간은 자신의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조건이 중요하며 이것은 월지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고, 음간은 자신을 돕는 에너지의 조건이 중요하며 이것은 인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적천수에서 을목에 대해서 설명한 앞부분을 보자.

乙木雖柔 _ 을목수유 _ 을목이 비록 부드럽다고는 하나

刲羊解牛 _ 규양해우 _ 미토(未土)를 찌르고 축토(丑土)를 풀어 헤칠 수 있다.

懷丁抱丙 _ 회정포병 _ 정화(丁火)를 품고 병화(丙火)를 안으면

跨鳳乘猴 _ 과봉승후 _  유금(酉金)을 넘어가고 신금(申金)을 올라타도 된다. 

 

1. 을목수유, 규양해우 - 미토(未土)의 지장간은 丁乙己로 조토이지만 을목은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며, 축토(丑土)의 지장간은 癸辛己로 계수의 생조를 받아 통근한 다는 의미이다. 적천수에서 갑목은 자신의 운동성을 발산할 수 있는 조건을 따지는 반면에, 을목은 지지에서 힘을 실어줄 수 있는지 여부를 따지는 것이 차이첨이다.

 

2. 화정포병, 과봉승후 - 을목일간이 금 관성이 강하여 금극목(金剋木) 하더라도, 화 식상의 기운이 있다면 식상제살하여 버틸 수 있다는 의미이다. 

 

虛濕之地 _ 허습지지 _ 허하고 습한 땅에 있으면

騎馬亦憂 _ 기마역우 _ 오화(午火)를 타고 있어도 걱정스럽다.

繫甲 _ 등라계갑 _ 타고 올라갈 나무(甲木)가 있다면

可春可秋 _ 가춘가추 _ 봄이면 어떻고 가을이면 어떠하리.

 

3. 허습지지, 기마역우 - 해자월(亥子月)에 태어나서 사주에 병정화 (丙丁火)가 없고 무미토(戊未土)도 없다면 오화가 있더라도 을목의 힘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한습한 계절의 수 인성이 강하게 되면 화 식상에 의해 설기되거나, 토 재성이 극하여 그 기운을 억눌러야 한다. 

 

4. 등라계갑, 가춘가추 - 1,2,3번은 오행의 상극작용을 따져 이해될 수 있는 반면에 등라계갑은 몇 가지 생각해야 될 부분이 있다. 뿌리가 없는 을목에 갑목 겁재에 의지하는 모양을 등라계갑이라고 하며, 이 경우 조후에 크게 영향받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등라계갑이 성립하는 조건에 대해서는 1)을목이 쇠약하여, 뿌리가 없어야 하며, 2)천간 갑목이 을목에 가까이 있어야 하고, 3)지지에 갑목의 뿌리가 있고, 병화가 투출되면 더욱 좋다고 한다. 

 

적천수징의원문

乙木者甲之質. 而承甲之生氣也. 春如桃李. 金剋則凋. 夏如禾稼. 水滋得生. 秋如桐桂. 金旺火制. 冬如奇葩. 火暖土培. 生於春宜火者. 喜其發榮也. 生於夏宜水者. 潤地之燥也. 生於秋宜火者. 使其剋金也. 生於冬宜火者. 解天之凍也. 刲羊解牛者. 生於丑未月. 或乙未乙丑日. 未乃木庫. 得以蟠根. 丑乃濕土. 可以受氣也. 懷丁抱丙. 跨鳳乘猴者. 生於申酉月. 或乙酉日. 得丙丁透出天干. 有水不相爭剋. 制化得宜. 不畏金强. 虛溼之地.. 騎馬亦憂者. 生於子月. 四柱無丙丁. 又無戌未燥土. 卽使年支有午, 亦難發生也. 天干甲透. 地支寅藏. 此謂藤蘿松柏. 春固得助. 秋亦合扶. 故曰可春可秋. 言四季皆可也.

'적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天干) _ 정화(丁火)  (2) 2022.12.27
천간(天干) _ 병화(丙火)  (2) 2022.12.21
천간(天干)_갑목(甲木)  (0) 2022.12.18
제1장 논천간(論天干)_2  (0) 2022.12.16
제1장 논천간(論天干)_1  (0) 2022.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