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간지총론(干支總論) _ 간지불배(干支不背)_3

국건사 2023. 3. 11. 16:02

左右貴乎氣協 _ 좌우귀호기협 _ 천간과 천간끼리, 지지 또한 지지끼리 서로 협력하면 이 또한 귀하다. 

 

이 부분에 대한 유기의 해석은 "상하좌우가 비록 하나의 기세를 가진 것들로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모름지기 생화되고 혼란스럽지 않아야 한다 (上下左右 雖不全一氣之物 須生化不錯)"는 것이다. 

 

임철초의 해석은 자세한데, 이 해석은 명식의 해석에 중요하므로 원문과 함께 살핀다.

 

左右氣協者 制化得宜

좌우에서 기세가 협력한다는 것은 제화(制化)가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거나

左右生扶 不雜亂者也

좌우가 서로 생부(生扶)하여 난잡하지 않은 것이다.

如殺旺身弱 有陽刃合之 或印綏化之

가령 칠살이 왕성하고 일주(日主)가 신약하면, 양인이 있어서 칠살과 합을 이루고 있거나 혹은 인성이 칠살을 인화하고 있으며

身旺殺弱 有財星生之 或官星助之

일주(日主)가 왕하고 살은 약한데 재성이 있어 살을 생해주거나, 혹은 관성이 있어 칠살을 돕고 있으며

身殺兩旺 有食神制之 或傷官敵之

일주(日主)가 칠살이 모두 왕한데 식신이 있어 살을 제어하거나, 상관이 있어 살을 극하는 경우를

此爲氣協

사주의 천간과 지지의 기가 서로 협력한다고 한다.

 

必身弱而殺有財滋 則殺爲累矣

만약 일주가 신약한데 재성이 있어 칠살을 도와준다면 재성은 오히려 허물이 될 것이고

身旺而劫將官合 則官己忘矣

신왕한데 겁재가 오히려 관(官)과 합을 하면 이미 그 관은 일주를 극하여 제하려는 자신의 본분을 잊어버린 것이다.

總之日主所喜之神 必要貼身透露

총체적으로 일주(日主)가 바라는 바의 희신이라면, 투출되어 일주(日主) 옆에 붙어있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喜殺而殺與財親 忌殺而殺逢食制

칠살을 바란다면 칠살은 재성과 친해야 하고, 칠살을 기피한다면 칠살이 식신의 극제를 만나야 된다. 

喜印而印居官後 忌印而印讓財先

인성을 바란다면 인성은 정관 뒤에 머물러 있고, 인성을 기피한다면 인성은 재성에게 앞의 위치를 양보해야 한다. 

喜財而遇食傷 忌財而遭比劫

재성을 바란다면 식상을 만나야 되며, 재성을 기피한다면 비겁을 만나야 되는 것이다.

 

日主所喜之神 得閑神相助 不爭不妬

일주가 바라는 용희신은 한신으로 부터 도움을 얻어야 하고, 그들과 다투거나 시기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所忌之神 被閑神制伏 不肆不逞

일주가 꺼리는 기구신은 한신들에게 굴복하여 방자하게 날뛰지 않는다면

此謂和協 宜細究之

이를 일러 서로 마음을 터놓고 화합한다고 하는 것이니 상세히 연구해봄이 마땅하다.

 

 

1. 좌우기협(左右氣協)인 경우

 

이 명식은 칠살인 병화(丙火)가 비록 왕성하지만, 임수(壬水)의 뿌리도 역시 견고하다. 일주(日主)는 비겁의 도움을 받고 있고, 습토의 생조도 받고 있다. 이른바 신살양정(身殺兩停 - 일주(日主)와 칠살이 균등한 세력으로 머물고 있는 것)이므로, 임수(壬水)를 용(用)하여 제살(制殺)한다. 이것이 바로 '천간이 서로 협력한다.(天干之協)'고 하는 것이다. 

또 지지에도 협력하고 있는 것이, 진토이다. 극제(剋制)와 인화(印化)가 번갈아 이루어지니, 유정하다고 할 수 있다.

행운(行運)도 금수지(金水地)로 가는 바, 벼슬길이 뛰어나게 빛나며, 직위가 봉강에 이르렀다.

 

1. 경금(庚金) 일간이 지지에 관성인 오화(午火)를 두었고, 월주가 병오(丙午)로 관성의 간지동을 두었다. 신약한 명식이다.

2. 관성이 강한 신약한 명식은 식상을 용신으로 삼는다. 용희신은 수금(水金)인데, 신중임수(申中壬水)에 뿌리를 내린 연간 임수(壬水)가 나름대로 힘을 갖추어 화(火) 기운과 대립한다. 경금(庚金) 역시 시간의 비겁을 두고, 시지의 진토(辰土)의 생조를 받아 화(火) 관성에 버티는 모양새다. 

3. 좌우기협(左右氣協)이란 천간에서의 힘이 서로 적정한 생조와 극제가 조화를 이룬 것으로 이 명식의 경우 수금(水金)과 화목(火木)이 균형을 이룬다. 또 지지는 관성 - 인성 - 비견으로 힘이 유통된다. 개인적으로 식상을 용신으로 쓰는데, 일주가 관성에 대한 극(剋)을 버틸 힘을 원국 내에서 갖춘 명식이 가장 좋은 명식인 것 같다. 이 명식이 무엇보다 좋은 것은 기신인 토 인성의 경우도 습토의 경우는 명식의 균형을 이루는데 좋은 기운으로 쓰이며, 조토 중에 술토(戌土) 역시 진술충(辰戌沖)으로 힘을 제어할 수 있는 힘을 갖춘 점이다.  

4. 대운에서 화목(火木)이 들어오는 것이 좋지 않은 대운인데, 이 명식의 대운은 평생을 금수(金水)로 흐른다. 초년 정미(丁未)대운은 좋지 않은 대운이지만, 이후 무술(戊戌)대운의 신금(申金) 운부터 좋은 대운으로 흐른다. 기유(己酉)대운에서 기토(己土)는 습토이며, 유금(酉金)은 유진합(酉辰合)으로 지지를 금국(金局)을 만든다. 경술(庚戌)대운에서 술토(戌土)는 오술합(午戌合)하여 화(火) 기운으로 바뀌려는것을 진토(辰土)가 진술충(辰戌沖)으로 제어한다. 이후 신해 - 임자 - 계축대운 모두 좋은 대운이다.

 

 

2. 좌우불협(左右不協)인 경우

 

이 사주는 앞의 사주와 대동소이 한 것처럼 보인다. 하물명 일지(日支)가 녹왕(祿旺) 즉 비견이고 임수(壬水) 또한 바로 곁에서 살(殺)인 병화(丙火)를 극(剋)하여 제(制)하는데, 어찌하여 앞의 사주는 명예와 재물을 함께 얻었고 이 사주는 평생동안 되는 일이 없었는가.

그 이유는 앞의 사는 임수(壬水)가 지지의 신금(申金)으로부터 생을 받아 힘을 얻었으니 살(殺)인 병화(丙火)를 능히 극하(剋)여 제(制)할 수 있었으나, 이 사주는 임수(壬水)가 절지(絶地)인 오화(午火)에 앉아 있어 살(殺)인 병화(丙火)에 대항할 만한 임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앞의 사주는 시간에 비견인 경금(庚金)이 있어 일주를 도와주는 한편 임수(壬水)를 생해주기도 하는데, 이 사주는 시간에 편인인 무토(戊土)가 있어 오히려 임수(壬水)를 극하니 식신인 임수(壬水)를 생해주지 못한다. 이를 일러 '좌우가 서로 마을을 터놓고 화합하지 못한다. (左右不協)' 라고 한다.

 

1. 경신(庚申)일주는 간지동으로 일주는 매우 강한 힘이나, 전체적인 명식을 살펴보면 화(火) 관성이 강한 신약한 명식이다. 

2. 앞의 명식과 마찬가지로 관성이 강한 신약한 명식이므로 식상을 용신으로 삼는다. 문제는 연간의 임수(壬水)가 일지의 신중임수(申中壬水)에 약하지만 뿌리를 내리고 있는데, 바로 옆의 인목(寅木)과 인신충(寅申沖)으로 그 뿌리가 위태롭다. 더구나 임수(壬水)는 화(火)에 둘러싸여 고립된 형국이다. 

3. 용신인 임수(壬水)는 힘이 전혀 없으며, 인성인 무토(戊土)는 조토(燥土)로 금(金)을 생조하는 힘이 약하다. 앞의 명식이 수금(水金)과 화목(火木)이 균형을 이루었던 반면에, 이 명식은 수(水)는 힘이 없고 금(金)은 화(火)의 극(剋)을 버티는데 힘들다. 

4. 정미(丁未)대운은 좋지 않다. 무신(戊申)대운에서 신금(申金)은 인신충(寅申沖)에 의해 충거(沖巨)되는 것도 좋지 않다. 기유(己酉)대운은 좋은 대운이나, 앞의 명식이 유진합(酉辰合)으로 강력한 금국(金局)을 만들었던 것이 더 좋은 대운의 모양이라고 하겠다. 경술(庚戌)대운에서 술토(戌土)는 인오술(寅午戌)로 화국(火局)을 만들어 좋지 않은 대운이다. 신해(辛亥)대운은 용희신 대운이나 해수(亥水)는 인해합(寅亥合)으로 좋지 않다. 임자(壬子)대운의 경우 앞의 명식은 임수(壬水)가 힘을 갖추어 병임충(丙壬沖)과 자오충(子午沖)을 버틸 수 있었으나, 이 명식의 경우는 이 천충지충에 의해 수(水)는 충거(沖去)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