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水枯傷
金水枯傷而腎經虛 _ 금수고상이신경허 _ 사주의 오행 중에서 금(金)과 수(水)가 이지러지고 메마르면 신장의 경락이 허약해져 병이 생긴다.
사주의 토(土)가 메마르면 금(金)을 생할 수 없고, 화(火)가 세차고 강하면 그 스스로 수(水)를 말릴 수 있으니, 사주의 금(金)과 수(水)는 메마르고 이지러지게 되어 반드시 신장의 경락이 허약해져 병이 생길 것이다.
사주의 금수(金水)가 이지러지고 메마른 경우
갑목일주가 늦여름이 미월(未月)에 태어나 목화상관(木火傷官)이니 인성을 용신으로 삼는다. 경금이 바짝 붙어 인성인 계수를 생해주고 있으니 사주의 순수함이 볼 만하다 하겠다. 글을 읽으면 보는 대로 외워버릴 정도였으나 아쉽게도 경금과 계수를 지지에서 실어주지 못한다.
더욱 불만스러운 것은 술시(戌時)에 태어나 지지가 화국(火局)을 이룬다는 것이니, 금수(金水)가 이지러지고 메마를 뿐만 아니라 화(火)는 능히 목(木)을 불살라버리니, 일주의 원신(元神)은 새어 나가 그 목숨을 다하게 된다.
어려서 몸이 쇠약해지는 병에 걸렸고 폐와 신장이 모두 이지러졌다. 병술(丙戌)운에 이르러 수(水)를 말리고 금(金)을 극하게 되니 죽고 말았다.
1. 갑목일간이 지지에 인오술(寅午戌) 화국(火局)과 화(火)의 여기인 미토(未土)를 두었다. 갑목일간이 일간과 시간에 병투하였고, 연지의 인목에 뿌리를 두지만 실령 - 실지하였으므로 신약한 명식으로 본다.
2. 지지의 화(火)에 극에 의해 편관 경금은 힘을 발휘하기 어렵고, 계수는 지지에 뿌리가 없어 힘이 약하다. 그러나 연간의 편관 경금이 월간 정인 계수를 생하고, 계수는 일간-시간의 갑목을 생하며, 갑목이 지지의 화국(火局)을 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유통된다.
3. 화(火) 식상의 극을 버틸 금(金) 관성과 화(火)를 극할 수(水) 인성이 용희신이 된다. 이 명식은 상생의 구조를 가졌지만, 용신이 되는 금수(金水)가 지지에서 받쳐주지 않아 힘을 발휘하기 어려운 것이 아쉽다.
4. 대운의 흐름 자체는 나쁘다고 볼 수는 없는데, 갑신(甲申) - 을유(乙酉)대운과 같이 지지에서 금(金)이 들어온다고 해도 천간의 목(木)이 화(火)를 생조하는 힘도 같이 들어오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병술(丙戌) 대운은 가장 좋지 않은 대운이 되며, 이 병술대운을 지나 지지의 수(水)를 갖는 정해(丁亥) - 무자(戊子)대운 역시 원국의 균형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기축(己丑)대운 정도가 화(火) 식상을 설기하는 습토대운으로 길한 대운이 될 수 있다.
'적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위(地位)_청기발기권(淸氣發機權)_맑은 기운이 주도권을 잡는다 (0) | 2023.07.18 |
---|---|
질병_수목상승(水木相勝)_수(水)와 목(木)이 토(土)와 싸워 이길 때 (0) | 2023.07.16 |
질병 _ 취금봉화(脆金逢火) _ 무르고 약한 금(金)이 화(火)를 만났을 때 (0) | 2023.07.13 |
질병 _ 화토인수(火土印綏) _ 토(土) 일주가 여름에 태어났을 때 (0) | 2023.07.13 |
질병 _ 금수상관(金水傷官) _ 금(金) 일주가 겨울에 태어났을 때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