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원문은 다음과 같다.
天全一氣 不可使地德莫之載 _ 천전일기 불가사지덕막지재
천간이 모두 하나의 기로 되어 있더라도, 실어주지 않는 지지의 배합이 되어서는 안된다.
"원국에서 천간의 배합이 모두 동일한 하나의 기로 구성되었다면 귀격을 이룬다"는 속설에 대한 비판이다. 적천수를 읽어나가다보면 결국은 모든 것은 음양오행에서 생화(生化)의 흐름을 갖는 것을 가장 좋게 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것이 천복지재(天覆地載)라고 하는 개념과 동일하다.
임철초의 해석을 일부 발췌하면
"必須地支之氣上升 天干之氣下降 _ 반드시 지지의 기는 상승하고, 천간의 기는 하강할 수 있어야
則流通生化 而不至於偏枯 _ 유통생화되어 고립되지 않게 된다.
又得歲運安頓, 非富亦貴矣 _ 또한 행운이 평안한 흐름을 얻게 된다면, 이는 부를 누리거나 또는 귀하게 되는 것이다.
如無升降之情 反有沖剋之勢 _ 만일 상승하고 하강하는 정이 없고, 오히려 충극하는 세력으로 이루어진다면
皆爲偏枯而貧踐矣 宜細究之 _ 편고된 형상으로서 빈천하게 되는 것이니, 마땅히 헤아리고 연구해야 한다."
라고 하였는데, 지지는 천간으로 투출되고, 천간은 지지에 뿌리를 두어야 하며, 그 관계가 서로 상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좋은 사주로 보았음을 알 수 있다.
1. 천전일기(天全一氣)이나 지지부재(地支不載)인 경우
위 명식에 대한 임철초의 해석이다.
"연지의 신금(申金)이 일주의 뿌리인 인목(寅木)을 충거(沖去)하고 있다. 게다가 무토(戊土)는 월령을 차지하며 둘씩이나 있어 편관 신금(申金)을 토생금(土生金)하여 돕고 있는 형상이니, 이를 일컬어 '지지가 천간을 돌아보지 않는다 (地支不顧天干)'라고 한다.
얼핏보면 천간의 사갑(四甲)을 지지에서 인목(寅木)이 실어주니 사주가 강왕(强旺)해 보인다. 하지만 가을의 목(木)은 휴수(休囚)이므로 약하고, 녹지(祿地)인 인목(寅木)이 충거(沖去)되어 그 뿌리가 이미 뽑혀버렸으니 일주는 왕하다 할 수 없다. 따라서 인묘해자(寅卯亥子)운에는 먹고 입는 것이 넉넉했으나, 경진운으로 바뀌자 살의 원신인 경금이 천간에 투출하여 아들 넷이 모두 죽고 가산을 탕진하여 자신도 수명을 다하였다. '천간에 많은 것이 지지에 많은 것과 같지 못하다(干多不如支重)'라는 말이 당연한 이치임을 알 수 있다.
1. 갑인일주에 연-월-시에 갑목비견을 두었다. 갑인일주가 신약해지기 쉽지 않은 명식인데다, 천간에 갑목이 관통했으니 득령하지는 못했지만 득지-득세했으니 신약하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천간의 갑목이 뿌리를 두고 있는 일지 인목이 인신충을 당하고 있는 점이 좋지 않아 보인다.
2. 연지 신금이 얼마나 인목을 충거할 만큼 강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임철초는 월지(月支)를 중요하게 보아, 첫째. 술월(戌月)의 목(木)이 힘이 없고, 둘째. 술토(戌土)가 시지(時支)까지 세를 얻어 신금(申金)을 생조하기 때문에, 셋째.신금(申金)이 인목(寅木)을 충거(沖去)하므로 신약한 명식으로 보았다. 만약 천간에 신금(申金)을 설기하며, 목(木)을 생조하는 수(水) 기운이 있었다면 신왕하면서 재생관이 튼튼한 명식이 될 수 있었겠다.
3. 일지(日支) 인목(寅木)이 충거(沖去)되므로, 일간이 약한 신약으로 보아 용희신은 수목(水木)이 된다. 그러나 천간의 갑을(甲乙)은 큰 의미가 있지 않으며, 지지에서 실어줄 인묘(寅卯) 만이 용신역할을 하겠다. 앞서 설명한대로 수(水) 기운은 편관 신금의 기운을 유통시킬 수 있으므로 좋다.
4. 임철초의 해석에서 월지에 대한 해석이 너무 과한 것 아닌가 싶은 때가 많은데, 이점은 임철초가 살았던 시대상과 사주를 보는 방식을 좀 이해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월지는 "내가 가지고 태어난 것, 내가 살아가야 하는 (신분, 계급, 가정형편 등)환경"으로 보며, 일지는 "내가 살아가는 모습, 내가 추구하는 가치관"으로 본다. 때문에 임철초의 시대에서 월지에 대해 중요하게 평가할 수 밖에 없었다면, 오늘날에는 일지에 대한 평가도 중요하다.
5. 다시 명식으로 돌아가서 좀 더 현대적으로 해석해보자면, 일지 인목(寅木)이 천간에 일기투출하였으니 자기 방식대로 살아갈 사람으로 보인다. 월령의 술토(戌土)가 강한 힘이며, 목(木)이 휴수(休囚)라고 하여도, 천간일기의 갑목에 의한 극(剋)이 거세므로 술토가 힘을 크게 발휘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오히려 오화(午火)가 빠진 인오술(寅午戌)의 화국(火局) 반합으로 묶이는 힘도 고려해야 할 것 같다. 물론 왕지(旺支)가 빠진 반합(半合)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도 많지만, 이 명식의 경우는 반합을 인정하지 않더라도 인목과 술토는 지장간에 병화(丙火)와 정화(丁火)를 내재하고 있다. 또 월지, 시지의 술토(戌土)는 지장간에 신금(辛金)도 가지고 있어, 지지는 인술(寅戌)의 화국(火局)과 신술(申戌)의 금국(金局)이 서로 우세를 두고 치열하다. 때문에 천간의 갑목(甲木)은 지지의 설기와 극에 의해 힘이 약하다. 돌고돌아 결국 용희신은 수목(水木)인데, 이 경우 명식에서 가장 중요한 힘은 수(水) 인성이다.
2. 천전일기(天全一氣)이나 천간불복(天干不覆)인 경우 _ 1
위 명식에 대한 임철초의 해석이다.
"원국에 화토(火土)로 가득하다. 자수(子水)는 쇠약하고 오화(午火)는 왕성한데, 충(沖)이 되니 왕신(旺神)인 오화(午火)가 촉발하여 더욱 치열해진다. 뜨거운 불에 물방울이 들어가 바로 말라버리는 (熬乾滴水)의 형상이다. 이른바 천간에서 자수를 덮어주지 않고 있다.
처음 돌아오는 대운인 기미(己未)에는 의지할 곳 없는 고통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경신(庚申), 신유(辛酉) 운에는 무토(戊土)를 설기시키니, 크게 기회를 잡아 결혼하고 자식까지 얻는다. 생업을 시작하여 집안을 일으킨 것이다.
임술운(壬戌運)으로 바뀌자, 임수(壬水)가 통근하지 못한 운으로서, 무토(戊土)는 원국과 오술삼합(午戌三合) 화국(火局)을 이루니 화재를 만나 다섯식구가 모두 사망하였다. 만약 천간에 경금(庚金)과 신금(辛金) 하나만이라도 투출되었거나, 혹은 지지에 신유(申酉) 하나만이라도 있었다면 어찌 이와같은 결말까지 이르렀겠는가?"
1. 천간의 무토가 득령, 득지, 득세하였으므로 극신강한 명식이다. 이 명식의 신약인지, 신강한 것인지는 특별히 논의할만 한 것이 없다. 다만 이 명식을 토전왕명식으로 볼 수 있을까 생각해볼 수도 있지만, 월령을 차지한 왕지 오화(午火)와 오술합(午戌合)이 이루는 화국(火局)의 기세가 강력하여 토전왕으로 보기 어렵다.
2. 지지의 화국(火局)이 천간의 무토를 생조하는 모양새인데 비해, 연지 자수(子水)만이 고립되었다. 무토와 암합하여 겨우 힘을 유지하고 있지만, 여기에 자오충(子午沖)으로 인해 자수는 완전히 힘이 없다.
3. 용신은 금수(金水)이다. 원국이 강력한 화토(火土)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여, 용희신 대운이 들어온다고 해도 원국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쉽지 않다. 다행인 것은 경신(庚申) - 신유(辛酉) 대운은 강한 식상대운으로 토 기운을 설기할만하다. 임술대운에서 임수는 뿌리가 되어줄 자수가 전혀 힘이 없고, 술토는 지지의 화국을 더욱 강화시키게 되므로 좋지않다.
3. 천전일기(天全一氣)이며 천복지재(天覆地載)인 경우
위 명식에 대한 임철초의 해석이다.
"이 명식은 앞의 명식과 신(申) 한 글자만 바뀌었다. 하지만 이 신금(申金)으로 인해 천간의 토기(土氣)가 하강하고 지지의 자수(子水)로 유통되어 그 근원이 되어주는 형상이다. 비록 오화(午火)가 맹렬하다고 해도 신금(申金)을 손상시키기는 불가능해 보이니, 신금(申金)을 용신(用神)으로 삼을 수 있음이 확실하다. 하물며 자수(子水)가 있어 이 사주의 병(病)인 오화(午火)를 보내버리는 희신 역할을 해주니 더욱 반갑다.
신(申)대운 무진년(戊辰年) 4월에 입학하여 9월에 등과했는데 여기에는 세운(歲運)의 진토(辰土)가 사주의 신자(申子)와 암합(暗合)을 하여 신자진(申子辰) 수국(水局)을 이루는 묘함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것은, 다가올 임술(壬戌)대운에 천간의 비겁들이 임수(壬水)를 두고 서로 다투는 군비쟁재(群比爭財)의 형상을 이루고, 지지의 술토(戌土)는 사주원국에서 오화(午火)를 만나 암합(暗合)을 하여 화국(火局)으로 화하려 할 것이므로 길함을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 여겨진다"
1. 무지일주로 실지하였으나, 득령-득세한 명식이므로 신강하다. 용희신은 금수(金水)로 보는데, 자수(子水)는 양옆의 오화(午火)와 충(沖)을 하고 있어 큰 힘이 없다. 다만 연지의 신금(申金)과 신자합(申子合)으로 묶여 힘을 완전히 잃지는 않았다. 신금(申金)은 지장간의 무토(戊土)가 천간 무토(戊土)의 뿌리가 되어주고, 용신 자수(子水)를 묶는 역할을 하므로 이 명식에서 가장 중요한 힘이다.
2. 앞의 명식과 다르게 이 연지 신금(申金)이 있어 경신(庚申) - 신유(辛酉) 대운은 금 식상이 천간에 투출되고 지지 신금(申金)에 힘을 더해 길함이 훨씬 크다.
3. 임술대운에서 술토(戌土)는 오술합( 午戌合)하며, 계해대운에서 계수(癸水)는 무계합(戊癸合)하여 좋지않다.
4. 천전일기(天全一氣)이나 천간불복(天干不覆)인 경우 _ 2
"이 명조는 네 개의 목(木)이 득령하여 당권(當權)하고 있다. 네 개의 금(金)은 절지(絶地)에 놓여있다. 비록 말하기는 오히려 지지의 묘목(卯木)을 극제(剋制)한다고 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극제(剋制)가 무력하다. 만약 신금(辛金) 일주가 왕하다고 하면 편재인 묘목을 용신으로 삼을 수 있으니, 어찌 제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었겠는가.
이 사람은 태어난 지 불과 몇 년 만에 부모를 여의고, 도사를 따라가 제자가 되었다. 기축(己丑)운과 무자(戊子)운에는 인수인 기축무토(己丑戊土)의 도움을 받으니 먹고 입는 것에 아쉬움이 없었으나, 대운이 정해(丁亥)로 바뀌자 지지의 해수(亥水)는 묘목(卯木)을 생하고 묘목(卯木)은 천간의 정화(丁火)를 생하며 정화(丁火)는 신금(辛金)을 극(剋)하니, 그 도사가 죽자 남아있던 재물을 노름과 주색으로 다 날리고 죽고 말았다."
1. 천간의 힘은 지지에 뿌리가 없으면 그 세가 많아도 힘이 없는 것으로 본다. 때문에 천간 신금(辛金)은 힘이 없으며, 지지의 묘목(卯木)이 득지-득령-득세한 모양새다. 때문에 용희신은 금토(金土)로 본다.
2. 기축(己丑)대운은 축토(丑土)의 지장간은 癸辛己로 신금(辛金)이 천간의 뿌리가 되어주고, 계수(癸水)는 편재 목(木)으로 유통시켜 주므로 길하다. 무자(戊子)대운 비슷한 논리에 의해 길한 대운이다.
3. 정해(丁亥) 대운은 해묘합(亥卯合)으로 지지는 다시 목국(木局)이 되며, 이 목(木) 기운의 생조를 받은 정화(丁火)가 신금(辛金)을 극하게 되므로 좋지 않은 대운이다. 만일 신금의 뿌리가 하나만 있더라도 오히려 정화가 신금을 극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천간과 지지의 생조와 유통, 그리고 통근과 투출의 관계가 중요한 것임을 보여주는 명식이다.
'적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지(干支)의 음양배합(陰陽配合)과 행운(行運) (0) | 2023.02.22 |
---|---|
간지총론(干支總論) _ 지전삼물(地全三物)의 간지배합(干支配合) (0) | 2023.02.21 |
적천수간지총론(干支總論) - 간지배합(干支配合)의 천복지재(天覆地載) _2 (0) | 2023.02.14 |
간지총론(干支總論) - 간지배합(干支配合)의 천복지재(天覆地載) _ 1 (0) | 2023.02.14 |
간지총론(干支總論) _ 음양순역설(陰陽順逆設) 2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