合有宜不宜 _ 합유의불의 _ 합(合)에도 마땅한 것과 마땅하지 않은 것이 있는데,
合多不爲奇 _ 합다불위기 _ 합(合)이 많으면 아름답지 못하다 하겠다.
통상 합(合)은 참으로 아름다운 일이라고들 하지만 (合固美事) 항상 그런 것만은 아니다. 다만 합을 반길 때 합이 이루어져야 (喜合而合) 그 합이 아름답고, 합을 꺼릴 때 합이 이우러진다면 (忌合而合) 이는 오히려 충(沖)보다 더 흉하다. (比沖兪凶) 이것은 충을 받고 있을 때 합을 얻어 고요하게 되는 것은 쉬우나, 합을 이루고 있을 때 충을 얻어 움직이게 하는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희신이 능히 합을 하여 그 합으로 인한 결과가 희신에게 도움이 된다면 아름다운 일이니, 경금이 그 사주의 희신인데 이 경금이 을목을 만나 합을 이루어 금으로 화하여 도움을 주는 경우가 그것이다.
흉신이 능을 합을 하여 떠나가는 것(合去)은 더욱 아름다운 일이니, 갑목이 그 사주의 흉신인데 이 갑목이 기토를 만나 합을 이룬 후 토로 화아여 떠나가버리는 경우가 그것이다.
한신과 흉신이 능이 합을 이루어희신으로 화한다면 이 또한 아름다운일이니, 계수가 흉신이고 무토가 한신인데 이 둘이 합을 이루어 희신인 화로 화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한신과 기신이 능히 합을 이루어 희신으로 화한다면 이 또한 아름다운 일이니, 임수가 한신이고 정화가 기신인데 이 둘이 합을 이루어 희신인 목으로 화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희신이 충을 받고 있을 때 충을 하는 오행이 합을 하여 떠나가는 경우(合去)나 희신이 합을 얻어 자신을 스스로 돕는다면 이 또한 아름다운 일이니, 자수와 오화가 충을 하고 있고(子午沖) 오화가 그 사주의 희신인데 자수가 축토를 만나 합을 하여 떠나가는 경우(子丑合)나, 인목과 신금이 충을 하고 있고(寅申沖) 인목이 사주의 희신인데 인목이 해수와 합을 하여 목으로 화하는 경우(寅亥合)가 그것이다.
1. 천합지합 _ 사주의 합이 마땅한 경우
위 명식에 대한 임철초의 해석이다.
"병자(丙子) 일주가 초봄인 인월(寅月)에 태어나 병화(丙火)는 약하고 목(木)은 여리다. 용신은 목(木)에 있고 기신은 금(金)이 된다. 가장 반가운 것은 해수(亥水)가 사주의 금(金) 기운을 흘려보내주는 것인데, 인목(寅木)과 합을 하여 목(木)을 생하므로 마땅하다 하겠다. 시지의 미토(未土)는 을목(乙木)의 뿌리가 되는 한편, 자수(子水)를 억제하는 역할도 수행하여 탁한 것을 보내고 맑은 것을 머물게 하니, 이 사람의 사주는 중화되어 순수하다. 사람의 마음 씀씀이가 너그럽고 화평하며 일생의 벼슬길도 순조로웠다."
1. 천간은 을경합(乙庚合)과 을신충(乙辛沖)이 있으므로 천간합은 큰 의미를 두기 어렵다.
2. 월령에 인성을 두었고 천간에 을목으로 투간을 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신약한 명식이다. 용희신은 목화(木火)가 되는데, 이 명식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용희신을 모두 지장간에 둔 인목(寅木)이 월령을 차지하면서 동시에 편관 해수(亥水)와 합을 하여 병화(丙火)를 생조하는 것이다.
3. 초년 기축대운에서 축토(丑土)는 해자축(亥子丑)의 수국(水局)으로 흐를 수 있었으나, 인해합(寅亥合)이 방합을 억제하는 것도 좋은 모양새이며, 무자대운은 화(火)를 설기하고 극하는 힘으로 이루어진 대운이지만 무자대운은 천간과 지지가 서로 극을 하는 관계예서 큰 힘을 발위히기 어렵다. 다음의 정해대운에서 해수(亥水)는 인목과 합을 하여 (寅亥合木) 정화(丁火)가 힘을 발휘하게 해주는 모양새로 아주 길하다고 보여진다.
4. 문제는 을유 - 갑신대운인데, 개인적으로 을유대운에서 유금(酉金)은 천간의 경금 - 신금의 뿌리가 되어주어 힘이 강력해지는 것이 좋지 않은 모양새로 보이며, 갑신대운은 인신충(寅申沖)으로 원국내의 인해합(寅亥合)을 무력화시켜 지지가 수(水)의 기운이 강해지는것이 좋지 않아 보인다.
5. 대운의 흐름을 살피면 임철초의 해석서럼 전체적으로 좋은 흐름은 아닐 수도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원국의 좋은 점은 기신인 수(水)의 기운이 강력해져도, 목(木)이 충분히 설기할 만한 힘을 갖추어 병화를 보호하고 있는 점이다.
2. 사주의 충을 운에서 합으로 풀어 마땅한 경우
임인(壬寅) 일주가 초가을인 신월(申月)에 태어나 가을의 물이 제철을 만나 튼튼하다.(秋水通源) 임수(壬水)를 생해주는 인성(印星) 금(金)이 중중하고 무축토(戊丑土)는 능히 금(金)을 생하느라 수(水)를 제어하기 어려우니, 버려두고 용신으로 쓰지 않는다. (置之不用) 다만 임수(壬水)의 성질에 순응하여 인목(寅木)을 용신으로 삼는다.
계수(癸水) 운에 이르러 금(金)을 설하고 목(木)을 생하니 국학에 입학하였고, 해수(亥水) 운에는 지지의 운은 북방으로 흐르지만 인목(寅木)과 합을 하여 병(病)이 되는 축토(丑土)의 습기를 제거하여 향시와 전시에 연달아 합격하고 그 명성이 드높았다.
단지 불만스러운 것은 인목(寅木)이 신금(申金)으로부터 충(沖)을 당하는 것이니, 빼어닌 가운인 인목(寅木)이 손상을 받아 벼슬이 지현으로 강등되었다. 갑자(甲子)운에는 수목(水木)이 함께 들어와 벼슬길이 평탄하였으나, 을목(乙木)운에는 경금과 합을 하여 기신인 경금(庚金)의 사나움만 도와주게 되어 파직을 당해 집에 돌아가게 되었고 축(丑)운에 기신인 금(金)을 생하니 죽고 말았다.
1. 임수일간에 월주가 경신일주로 인성 간지동을 두었고, 시간에 신금까지 투간했다. 득령-득세한 신강한 명식이다.
2. 시지의 관성인 축토는 연간에 무토로 투간되었으나, 자축합(子丑合)도 있으므로 관성이 강한 힘을 갖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억부상 용신은 화목(火木)이 된다. 다만 원국이 금수(金水)의 기운이 강하고, 화(火) 기운은 원국에 인목(寅木)의 지장간에만 있는 약한 힘이므로 월지의 인목(寅木)이 금(金) 인성의 극(剋)을 견디면서 수(水) 비견을 설기해야 한다.
3. 용희신은 인목(寅木)의 지장간에 암장되어 있다. 이 명식에서 가장 좋지 않은 점은 월령을 차지한 신금(申金)으로부터 인신충(寅申沖)에 의해 용희신인 인중병화(寅中丙火)와 인중갑목(寅中甲木)의 힘이 매우 약해진다는 점이다. 이 경우 인신충을 무력화하는 대운의 흐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4. 초년 신유는 금(金) 기운이 왕성해지는 대운으로 좋지 않다. 다음 임술대운은 술토(戌土)에 의해 임수(壬水)가 제어되므로 평이한 대운으로 보인다. 계해대운에서 계수(癸水)는 무계합(戊癸合火) 하여 기신이 용신으로 바뀐다. 해수(亥水)는 인해합목(寅亥合木)으로 인신충(寅申沖)으로 부터 인목(寅木)을 구해내면서, 기신이 희신으로 바뀐다. 다음 갑자대운은 갑목(甲木)이 투간한 형상이지만, 그 뿌리인 인목(寅木)이 여전히 인신충으로 힘이 약하고, 자수는 지지를 수(水) 기운을 강화시키므로 좋지 않다. 을축대운은 을경합금과 자축합수로 천간지지가 모두 용희신을 극하는 힘으로 바뀌는 대운이다.
5. 용희신의 힘이 약하고, 대운의 흐름이 좋다고 보기 어렵다. 임철초의 설명대로 평생 벼슬길이 평탄하였다는 설명을 보고, 다시 명식을 살펴봐도 크게 동의하기 어렵다. 강한 금(金) 인성이 식상을 극(剋)하고 있으며, 월일지의 인신충에 이해 용희신이 충(沖) 당하고 있다. 재생관이나 식상생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모습으로 보인다.
'적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지총론(干支總論) _ 지생천(地生天) _ 지지가 천간을 생하는 일주_1 (0) | 2023.03.04 |
---|---|
간지총론(干支總論) _ 천합지합(天合地合) _ 2 (0) | 2023.03.04 |
간지총론(干支總論) _ 천극지충(天剋地沖) (2) | 2023.02.26 |
간지(干支)의 음양배합(陰陽配合)과 행운(行運) (0) | 2023.02.22 |
간지총론(干支總論) _ 지전삼물(地全三物)의 간지배합(干支配合)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