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하게 지내는 학교 후배의 사주이다.

오래동안 함께 지내온 사람들의 사주를 보면 사람의 인상, 행동 등과 사주가 상당히 비슷한 느낌이라는 것은 신기하다. 내 주변에 신미일주를 가진 사람들은 씻는 것을 좋아하고, 마르고, 신경이 예민하고, 얼굴은 하얗고, 체격이 왜소한 사람들이 많았다. 통상적으로 일주에 갑-신-묘-오-미-신을 보면 강한 현침살이라고 하는데, 현침살을 가진 사람은 보통 성격이 섬세하고, 날카롭고, 비판적이라고 한다. 어떠어떠한 살이라는 것을 많이 신뢰하기 어렵지만, 어쨌든 신미일주는 지장간의 재-관-인의 구조를 갖춘 것에 비해서 조토불생금(메마른 토는 금을 생하기 어렵다)에도 해당되어 그 힘을 발휘하기 조금 어려운 천간-지지의 조합이라고 볼수도 있다.
이 명식은 원국의 8글자 모두 음기운의 글자로 이루어졌다. 남명에 음팔통 사주는 소극적이고, 도전이나 변화를 꺼리며, 신중한 성격을 갖기 쉽다고 한다. 특히 음팔통의 경우 무자녀인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이 후배도 자녀가 생기지 않았다.
이 명식은 유월의 신금이므로, 신금의 성격이 거세다. 임수가 귀한 글자이나, 연주의 계축 또한 수 식상의 간지동에 가까운 힘이므로 재귀통문의 조건 중 "신왕한데, 관살이 미약하고, 인성이 중한데 재성이 월지에 있거나 왕성할 때"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 명식은 신강한 명식으로 용신은 미중을목이 되는데, 이 을목이 미토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나 고전에서 "을목은 비록 부드럽다고 하지만, 미토를 찌르고 축토를 풀어헤친다"고 말하고 있는 것처럼 을목에게 미토는 좋은 뿌리가 아닌 것 같다. (가끔 을목-미토의 상성이 좋다고 하는 글도 볼 수 있는데, 전체 원국을 살펴봐야 하겠으나 기본적으로 수기운이 조화를 맞추었을 때 상성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 을목이 미토에 의해 설기당하고, 신금에 의해 쟁충 당하고 있는 모습은 좋지 못하다. 하지만 을목 재성 용신이 천간에 투출한 모양새고, 신왕하며, 수 식신도 기세가 만만치 않으므로 재물에 대해서는 큰 걱정이 없겠으나, 이 을목 재성 용신이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역시 수 기운의 생조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말한대로 이 명식의 용신은 수목의 기운이 용희신이 되고, 화가 한신이 된다. 다만 원국이 미토가 병존되어 조후적으로 메마르고 뜨거운 명식으로 수기운이 균형을 맞추지 않았을 때, 화의 기운은 긍적적이지 않다.
개인적으로 사주를 보고 그 사주대로 꼭 인생이 흘러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확정적으로 어떠하다는 말을 하는 것이 매우 조심스럽다. 처음에 이 명식을 보았을 때 어딘가 균형이 잘 안잡혔다는 느낌이 들었고, 음의 기운이 강하고, 표현하기 좀 어려우나 원국이 좀 뾰족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하지만 원국의 지장간까지 가만히 들여다보면 사주의 균형이 오묘하게 잘 짜여져 있다. 월지의 유금이 강한 힘으로 자리잡아서 축토를 미토로부터 보호하는 모양새로, 대운-세운에서 사화가 들어오게 되면 사유축 복덕수기가 될 준비를 갖추었다. 원국을 조금 더 풀어서 이야기하자면, 용신인 을목이 사막같은 땅에 뿌리내리기 어렵고 원국의 강한 금기운에 의해 공격당하고 있으므로 - 본인이 가진 까칠함을 수 식상의 상상력, 유쾌한 생각으로 목 기운을 북돋우어야 재물과 인간관계 모두 좋은 방향으로 흐른다. 현침살, 신미일주, 미토병존, 월지 유금 - 원국이 가리키고 있는 방향은 까칠함이고, 이 까칠함을 수 식상이 가진 자유로움, 자애로움으로 보완할 때 개인의 성취가 따른다.
다음 대운의 흐름이다. 초년운인 8경신대운, 18 기미대운, 28 무오대운은 조후나 억부상으로 보았을 때 좋은 대운은 아니다. 48병진대운부터 수목으로 흘러 말년이 특히 길한 대운으로 흐른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는 않겠지만 38 정사대운은 사유축 금국이 이루어지는 대운이 된다. 특히 68 갑인대운이 아주 좋다.
현재는 48년 병진대운을 지나고 있다. 이 명식에서 병화는 병신합수를 통해 한신이 희신으로 바뀌는 해이며, 신금을 합으로 묶어 을목을 쟁충으로 부터 구해내 가장 아름다운 천간이 되는 것 같다. 2022년 임인년은 을목의 뿌리도 튼튼하고 천간의 임수는 신-임-계를 이루어 인중삼기 (사람들로부터 인기와 주목을 받는 힘이라고 말함)를 이룬다. 병진대운의 정관-정인은 직장내에서 승진같은 눈에 띄는 성과를 이룰 수 있는 힘으로 본다.
58 기묘대운은 억부상으로 강한 편재 목의 기운이 들어오는 대운이다. 우선 묘목을 보면, 이 대운의 묘목은 묘미합목, 묘유충이 동시에 일어나게 되므로 용신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천간 을목이 신금에 의해 쟁충하고 있는 모습은 조금 불안해 보이지만 (특히 충이 천간에서만 6개가 만들어지는 해는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을목이 담당하는 간, 신경, 목 등에 주의.), 천간의 충은 그 성격이 변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으므로 을묘대운은 강한 편재의 기운이 왕성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을묘의 편재를 생조하는 수의 기운이 약한 것이 아쉬우나, 앞서 설명한 대로 너그러운 마음가짐을 통해 보완하는 수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주상담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 겁재가 많은 사주 (0) | 2022.10.20 |
---|---|
토 재성이 많은 사주 (0) | 2022.10.19 |
갑목삼병존 사주의 힘 (2) | 2022.10.07 |
중화사주 _ 실례1 (0) | 2022.10.07 |
궁합이란 정말 존재하는 걸까? (0) | 2022.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