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반국(反局) _ 반생지묘(反生之妙)2 _ 식신제살(食神制殺)

국건사 2023. 5. 11. 09:01

兒能救母洩天機 _ 아능구모설천기 _ 자식(식상)이 능히 어미(일주)를 구하는 것은 하늘의 기밀을 누설함이다.

 

적천수에 대해서 임철초는 주로 억부적인 관점에서 설명했다면, 이 부분의 임철초의 해석은 억부론과 함께 조후론으로 설명한다.예를 들면 억부적인 관점에서 수(水)는 목(木)을 생하는 힘인데, 조후론에서는 겨울의 수(水)는 목(木)을 생조하지 못하는 힘으로 목(木)은 허약한 힘으로 본다. 이 경우 식상인 화(火)가 금(金) 관성을 극제하고 (억부론), 수(水)를 조후적으로 중화시켜야 한다고 본다. (조후론) 

 

兒能生母之理 須分時候而論也. 

"‘자식(식상)이 능히 어미를 살린다 (兒能生母)’는 것은 모름지기 사계절의 절후를 구분해서 논해야 한다."

 

如木生冬令 寒而且凋 逢金水必凍 不特金能剋木 而水亦能剋木也. 必須火以剋金 解水之凍 木得陽和而發生矣.

"예를 들어 목(木) 일주가 겨울에 태어나 차갑고 시들었는데 사주에 금수(金水)가 있다면 목(木)은 반드시 얼어버릴 것이니, 단지 금(金) 만이 목(木)을 극하는 것이 아니라 수(水) 또한 능히 목(木)을 극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식상인 화(火)로 관살인 금(金)을 극하고 인성인 수(水)가 언 것을 풀어주어야만 목(木)은 온화한 양기와 화합하여 생기를 발하게 된다."

 

火遭水剋 生於春初冬盡 木嫩火虛 非但火忌水 而木亦忌水 必須土來止水 培木之精神 則火得生而木亦榮矣. 

"화(火) 일주가 수(水)로부터의 극을 만났는데 늦은 겨울인 축월(丑月)이 지나 이른 봄인 인월(寅月)에 태어나면, 겨울이 다하고 봄은 되었으나 아직 목(木)은 어리고 화(火)는 허하여 단지 화(火)만 수(水)를 꺼리는 것이 아니라 목(木) 또한 수(水)를 꺼린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식상인 토(土)가 와서 관살인 수(水)를 막고 인성인 목(木)의 정신을 배양해주어야만 화(火)는 생을 얻고 목(木) 또한 꽃을 피워 번성할 것이다."

 

土遇木傷 生於春未冬初 木堅土虛 縱有火不能生濕土 必須用金伐木 則火有焰而土得生矣.

"토(土) 일주가 목(木)으로부터의 손상을 만났는데 늦은 봄인 진월(辰月)이나 초겨울인 해월(亥月)에 태어나면, 목(木)은 단단하고 토(土)는 허하여 비록 화(火)가 있어도 습토를 생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식상인 금(金)을 써서 관살인 목(木 )을 베어내야만 인성인 화(火)는 불길을 당기고 토(土)는 생을 얻을 것이다."

 

金逢火鍊 生於春未夏初 木旺火盛 必須水來剋火 又能滋木潤土 而金得生矣. 

"금(金) 일주가 화(火)로부터 달구어 불림을 만났는데 늦은 봄인 진월(辰月)이나 초여름인 사월(巳月)에 태어나면, 목(木)은 왕성하고 화(火)는 무성하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식상인 수(水)가 와서 관살인 화(火)를 극해야 하고, 또한 목(木)을 적시며 인성인 토(土)를 촉촉하게 해주어야 금(金)은 생(生)을 얻게 될 것이다."

 

水因土塞 生於秋冬 金多水弱 土入坤方而能塞水 必須木以疏土 則水勢通達而阻隔矣.

"수(水) 일주가 토(土)로 인해 막혔다는 것은,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나고 금(金)은 많고 수(水)가 허약한데 토(土)가 곤방에 들어가면 (남서쪽 - 여름과 가을사이) 능히 수(水)를 막을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식상인 목(木)으로 관살인 토(土)를 터주어야만 수(水)의 세력은 통하게 되어 막혀서 서로 통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成母子相依之情 爲兒能生母也. 若木生夏秋 火生秋冬 金生冬春 水生春夏 乃休囚之位 自無餘氣 焉能用生我之神 以制剋我之神哉. 雖就日主而論 四柱之神 皆同此論.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어미와 자식은 서로 의지하려는 정을 이루게 되니, 이를 일러 '자식(식상)이 능히 어미(일주)를 살린다'라고 한다. 만약 목(木)이 여름이나 가을에 태어나거나, 화(火)가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나거나, 금(金)이 겨울이나 봄에 태어나거나, 수(水)가 봄이나 여름에 태어나면, 이들은 휴수의 계절에 태어난 것이니 여기(餘氣)가 없는데 어찌 내가 생하는 신(我生之神)인 식상을 용신으로 삼아 나를 극하는 신인 관살을 제(制)하게 할 수 있겠는가. 이 모든 것은 일주를기준으로 논했을 경우이니 사주의 신(神)도 이와 같은 논리로 해석하면 될 것이다."

 

왕상휴수사에 대한 여러가지 이론이 있지만, 임철초가 설명하는 왕상휴수사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
()
()

 

1. 식신제살 중 목(木) 일주가 겨울에 태어난 경우

"을목일주가 한겨울인 자월(子月)에 태어나 비록 인성이 월령을 차지하기는 했으나, 결국 한겨울의 을목은 시들어 무성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지는 신유술(申酉戌) 서방의 금(金)으로 이루어져 재성과 관살이 방자하게 날뛰고 있다. 반가운 것은 천간에 두 개의 병화가 투출하여 금(金)은 차갑지 않고 수(水)는 얼지 않았으며, 추운 겨울의 나무는 햇볕을 바라게 되어 '자식이 능히 어미를 구하는 것 (兒能救母)'이 되었다. 

사람의 성품이 올곧고 호탕했으며, 비록 사업을 했으나 그 규모는 속됨을 벗어나 십여만의 재물을 일으켰다. 다만 글공부에는 맞지 않았으니, 이는 술토가 살(殺)인 유금을 생(生)하고 인성인 자수를 깨뜨렸기 때문이다."

 

1. 을목일간이 지지에 신유술(申酉戌) 금(金) 방국을 두었다. 월지에 인성인 자수를 두었지만, 을목은 지지에 뿌리가 없어 신약하다.

2. 억부적으로 관성이 강한 신약한 명식은 식상을 용신으로 쓰며, 이 명식의 경우 조후적으로 겨울 목(木)에게 필요한 것은 천간에 투출한 식상 병화가 된다.

3. 명식의 구조는 천간의 목화(木火)와 지지의 금수(金水)의 대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임철초의 설명과는 다르게 재성인 무토가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금(金) 관살은 목(木) 비겁에 위협이 되고, 수(水) 인성 역시 용신인 화(火) 식상을 극하는 힘으로 좋지않다. 문제는 토(土) 재성의 향방인데, 목생화(木生火)로 모인 화(火)의 기운이 토(土)를 생조하는 방향, 즉 식상생재로 유통되는 것이 가장 긍정적인 균형을 만드는 힘으로 보인다. 다시말해 원국의 안정은 목(木)을 통해 이루어지며, 원국의 기운이 뻗어나가는 것은 화생토(火生土)로 유통되는 힘이다. 

4. 정축(丁丑)대운은 축토가 유축반합(酉丑半合), 자축합(子丑合)으로 지지의 금수(金水)의 세력을 돕는다. 천간의 정화는 병화와 함께 세력을 이루지만, 큰 힘을 발휘하기 어려워 보인다. 반면에 무인(戊寅)대운은 인목이 병화의 뿌리를 지장간에 갖춘 힘이르로 식상생재를 만드는 대운이 된다. 기묘(己卯)대운에서 묘목은 묘유충(卯酉沖)으로 지지의 금국을 깨뜨리면서 동시에 묘술합(卯戌合)으로 용신이 된다. 경진(庚辰)대운에서 경금은 원국에서 지지에 세력을 이루고 있는 금(金)이 천간에 투간한 힘이면서, 진토의 생조까지 받기 때문에 매우 강한 힘으로 갑경충(甲庚沖)은 매우 위협적이다. 또 진토는 신자진(申子辰) 삼합(三合)을 이루고, 유진합(酉辰合)도 하면서 동시에 진술충(辰戌沖)이 생긴다. 이 중 가장 강력한 것은 진술충으로 토 재성이 활발해지는 대운이다. 신사(辛巳)대운에서 신금은 병신합(丙辛合)으로 천간의 병화를 묶어버리고, 지지의 사화도 사유반합(巳酉半合) 된다. 좋지 않은 대운이다. 다음 임오(壬午)대운에서 임수는 병화화 충을 하고, 오화는 자수와 충을 하게 되어 원국과 대운의 용신이 모두 충거되는 대운이 된다. 주의해야 할 대운으로 보인다.

 

2. 식신제살 중 수(水) 일주가 토(土)로 인해 막힌 경우 (水因土塞)

"임수일주가 휴수(休囚)의 계절인 늦여름의 미월(未月)에 태어났다. 반가운 것은 지지에 세 걔의 습토인 진토를 만나 신자진(申子辰) 수국(水局)의 신고(身庫)에 뿌리를 내린 것이다.

진토는 능히 수(水)를 저장하여 목(木)을 배양할 수 있다. 갑목과 을목이 천간에 함께 투출하고, 지지에 뿌리를 얻고 토(土)를 제(制)하니 아능구모(兒能救母)이다. 약간 불만스러운 것은 병화가 목(木)을 설하고 토(土)를 생한다는 것이니, 공명은 벼슬을 하지 못한 수재에 불과하였다. 묘하게도 중운과 만운의 지지가 동북의 수목으로 흘러 돈을 내고 벼슬을 얻어 지위는 번헐에 이르렀다."

 

1. 임수일간이 지지에 세개의 진토를 두었다. 진토는 편관이지만, 지장간에 계수를 두었으므로 임수는 진토에 뿌리를 내린 것으로 본다. 지지는 모두 관살을 두어 임수는 신약하지만 나름대로의 힘이 있다고 본다.

2. 이 명식에서 지장간에도 없는 힘은 금(金) 인성으로, 왕성한 관살을 설기할 힘이 없다. 때문에 억부상 용신은 관살로부터 임수를 도울 비겁과 관살을 극제(剋制)할 식상이 용신이 된다.

3. 임철초는 수(水)가 휴수(休囚)인 봄, 여름에 태어났다면 여기가 없어 식상을 용신으로 삼을 수 없다고 하였는데, 이 경우는 임수가 진토에 뿌리를 내려 힘이 있는 경우로 보아야 할 것 같다. 

4. 원국의 구조는 임수로 부터 시작하여 수생목, 목생화, 화생토로 관살로 힘이 유통된다. 용희신은 수목(水木)이 되지만, 가장 아쉬운 힘은 금(金) 인성이라고 할 수 있다. 

5. 정유(丁酉)대운에서 정화는 정임합(丁壬合)하여 용신으로 바뀌는데, 유금이 유진합(酉辰合)으로 식상을 극하는 힘으로 바뀌는 점이 아쉬운 점이다. 무술(戊戌)대운은 좋지 않은 대운이며, 기해(己亥)대운도 크게 좋다고 보기는 어렵다. 경자(庚子)대운은 관성을 설기시키고, 수 비겁에 힘을 더하는 대운이다. 신해(辛丑)대운에서 축토는 축미충(丑未沖)으로 월지 정관이 충하게 되는데, 이 명식의 경우 이 축미충은 좋은 역할을 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보인다. 다음 임인(壬寅), 계묘(癸卯)대운은 용희신 대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