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159

3. 길흉(吉凶) _ 희신(喜神)과 기신(忌神)의 역할_2

흉(凶) 何知其人凶 _ 하지기인흉 _ 그 사람이 흉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忌神輾轉攻 _ 기신전전공 _ 기신이 돌아가며 공격하기 때문이다. 기신(忌神)이란 일주와 용신에 손해를 끼치는 신(神)을 말한다. 따라서 사주팔자 중에 우선 희신이 있어야만 기신이 무력해진다. 기신은 병(病)이 되고 희신은 약(藥)이 되는 것이니, 병이 있는데 약이 있으면 길(吉)하고 병이 있는데 약이 없으면 흉(凶)하다. 일생동안 길함은 적고 흉함이 많은 것은 모두가 기신이 세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월(寅月)에 태어난 사람이 인목(寅木)의 지장간 중 갑목(甲木)을 용신으로 삼지 않고 무토(戊土)를 용신으로 삼으면, 갑목(甲木)은 당령한 기신(忌神)이 된다. 일주의 의향을 살펴보아 혹시 화(火)를 희신으로 하여 목(..

적천수 2023.06.22

3. 길흉(吉凶) _ 희신(喜神)과 기신(忌神)의 역할_1

길(吉) 何知其人吉 _ 하지기인길 _ 그 사람이 어찌 길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喜神爲輔弼 _ 희신위보필 _ 용신이 희신의 보살핌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아래 임철초의 설명 중에 일부 용희신에 대한 설명은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주원국을 구성하는 오행은 용신(用神), 희신(喜神), 기신(忌神), 구신(仇神), 한신(閑神)으로 나누는데, 원국의 균형을 위해 가장 중요한 힘이 용신이며 이 용신을 돕는 힘이 희신이고 용신을 극하는 힘이 기신이 되고 희신을 극하는 힘이 구신이 된다. 한신은 기신을 극하는 힘이면서 동시에 용신을 설기하는 힘이므로 개념적으로는 중립적인데, 한신이 좋은 역할을 하는 지, 그렇지 않은 지에 대해서는 사주원국의 구조를 따져봐야 한다. 이상의 개념으로 원국의 신약, 신강을..

적천수 2023.06.22

부귀빈천(富貴貧賤)_2.관성(官星)의 역할_2

천(賤) 何知其人賤 _ 하지기인천 _ 그 사람이 천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官星還不見 _ 관성환불현 _ 그것은 관성이 다른 신(神)의 도움을 받지 못해 제 구실을 제대로 하지 못함이다. 관성이 사회적 성공을 만드는 힘으로, 명식에서 관성의 힘이 잘 발휘되지 않는 경우를 천(賤)하다고 본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식상과 재성이 지배하는 세상으로 관(官)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측면이 있다. 임철초는 관성을 상, 중, 하로 나누었는데 이것을 간단히 말하면 관성 - 일주 - 인성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고, 일주-인성과 재성-관성이 생(生)하여 균형을 이루는 것이 그 다음이며, 관성과 일주가 극(剋)을 당하여 힘을 잃은 상태가 그 다음이라는 의미다. 세부적인 해석은 참고하..

적천수 2023.06.21

부귀빈천(富貴貧賤)_2.관성(官星)의 역할_1

귀(貴) 何知其人貴 _ 하지기인귀 _ 그 사람이 귀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官星有理會 _ 관성유리회 _ 그것은 관성이 다른 신(神)을 모아 다스리는 이치를 얻었음이다. 재(財)와 관(官)의 의미는 사회적인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것으로 오행(五行)의 생극제화(生剋制化)를 대입해보면, 나의 힘을 설(洩)하거나 나를 극(剋)하는 힘이다. 사회적인 성공은 자신의 희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의미인데, 관(官)의 의미에 국한해보면 결국 신왕하고, 인성이 강할 때, 관성이 힘을 발휘할 수 있다. 그 밖의 경우는 전체적인 사주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아래 임철초의 설명에서 자식을 함게 논한는 것은 식상이 관성을 극하는 관계에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관성을 극하는 식상을 자식으로 논하는 것이 지금 시..

적천수 2023.06.19

부귀빈천(富貴貧賤)_1.재성(財星)의 역할_재기통문호(財氣通門戶)_3

4. 재성이 많아 비겁을 반기는데 관성이 비겁을 극하는 경우 "경금이 가을인 유월(酉月)에 태어나 월령을 잡았고, 재(財)와 관(官)이 함께 왕(旺)하고 식신인 임수가 시간(時干)에서 수기(秀氣)를 토하니, 넓게 보면 부귀를 누릴 명조라 하겠다. 하지만 재성이 지차치게 많고, 지지의 인목은 관성인 오화와 인오(寅午)의 화국(火局)을 이루어 일주는 오히려 약해지니 이렇게 강한 재관(財官)을 감당하지 못한다 하겠다. 일주인 경금은 양인(陽刃)인 겁재의 도움에 전적으로 의지할 수 밖에 없는 형상이나, 유금은 묘목과 충(沖)을 하고 오화(午火)의 극(剋)을 받으며, 시간의 임수는 화(火)를 극할 수 없는 상황에서 오히려 일주의 기운만 설(洩)하니 재성이 참되지 못하다 하지 않겠는가. 초운인 갑신(甲申)운은 지지..

적천수 2023.06.18

부귀빈천(富貴貧賤)_1.재성(財星)의 역할_재기통문호(財氣通門戶)_2

빈(貧) 何知其人貧 _ 하지기인빈 _ 그 사람이 가난한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財神反不眞 _ 재신반부진 _ 재성이 기신이거나 용신의 역할을 잘 못하여 참되지 못함이다. 재성이 참되지 못한 경우는 다음 아홉 가지가 있다. 재성이 중첩되어 왕성한데 식상도 많은 것이 첫 번째 참되지 못함이며, 재성이 쇠약하여 식상을 바라는데, 오히려 인성이 왕성한 경우가 두 번째 참되지 못함이며, 재성이 쇠약하고 비겁이 중첩되어 왕성한데, 식상은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세 번째 참되지 못함이며, 재성이 많아 비겁을 바라는데, 관성이 비겁을 극제(剋制)하고 있는 경오가 네 번째 참되지 못함이며, 인성을 바라는데, 재성이 인성을 괴인(壞印)시키고 있는 경우가 다섯 번째 참되지 못함이며, 인성을 기피하는데, 재성이 관성을 생조하고 ..

적천수 2023.06.15

부귀빈천(富貴貧賤)_1.재성(財星)의 역할_재기통문호(財氣通門戶)_1

부(富) 何知其人富 _ 하지기인부 _ 어떻게 그 사람의 부(富)를 알 수 있는가? 財氣通門戶 _ 재기통문호 _ 재성의 기운이 문호를 통해야 한다는 것을 알수있다. 사주에서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이 부(富)를 얻을 것인지에 대한 것인데, 부(富)에 대해서 에서는 재기통문호(財氣通門戶)라고 하여 비교적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아래에 대한 설명을 다 외울 수도 없고, 외운다고 해도 모든 명식에 적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신왕(身旺)한 경우에는 비겁(比刧)의 극을 버틸 만한 재성(財星)이 힘을 갖추어야 하고, 재관(財官)이 강하여 신약(身弱)한 경우에는 재관(財官)을 극하거나 설기하여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신왕하고 재성이 쇠약한데 관성이 없다면, 반드시 식상이 있어야 하며 신왕하고 재성도 ..

적천수 2023.06.15

육친(六親)_4.형제_비겁(比刧)이 형제(兄弟)

兄弟誰廢與誰興 _ 형제수폐여수흥 _ 형(비견)과 아우(겁재) 둘 중에 누가 망하고 누가 흥하는가는 提用財神看重輕 _ 제강 즉 월령에서 작용하는 재성과의 경중을 살펴보아야 한다. 1. 살은 왕(旺)하고 식신은 없는데 겁재를 얻어 살과 합을 한 경우 "병화일주가 초봄인 인월(寅月)에 태어나 봄의 화(火)에 불꽃이 있다고는 하지만, 왕(旺)하다고 논하지는 않는다. 월간(月干)의 임수는 지지의 해자에 통근하였고, 관살(官殺)인 해수와 자수가 왕하고 제어하는 토(土)는 없는데 반갑게도 정임합(丁壬合)과 인해합(寅亥合)을 이루어 인성인 목(木)으로 화하니 재앙이 오히려 은혜가 되었다. 시지(時支)의 재성인 유금은 관(官)을 생하고 인성을 무너뜨리려 하나, 또한 시간(時干)의 정화가 개두가 되어 유금이 인목을 극하지..

적천수 2023.06.14

육친(六親)_3.부모_인성(印星)이 부모(父母)

父母或隆與或替 _ 부모혹륭여혹체 _ 부모가 혹은 융성하거나 혹은 쇠퇴하는 것은 歲月所關果非細 _ 세월소관과비세 _ 세월(연주와 월주)이 관계하는 바가 과연 적지 않다. 사주를 볼 때 육친에 대한 설명은 논리적인 정합성을 찾기 어려운데, 특히 부모에 관련된 부분은 근묘화실에 대한 내용까지 함께 설명하므로 더욱 공감하는 바가 적다. 부모의 복을 타고 났는지, 그렇지 않은지는 이미 본인이 더 잘 알 수 있는 문제인데, 무엇하러 사주로 그것을 확인하려 하는가. 인성이 부모라는 생각을 버리면, 인성은 일간을 보호하는 유일한 힘이며, 나를 극하는 관성을 유통시키는 힘이된다. 오히려 나를 지키는 유일한 힘이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라는 단순한 진리를 명심하는 것이 훨씬 긍정적인 개운법이다. 1. 연(年) 관성, 월(..

적천수 2023.06.14

육친(六親)_2.자녀_식상(食傷)이 자식(子息)

子女根枝一世傳 _ 자녀근지일세전 _ 자식은 나무가 뿌리를 내려서 가지를 치듯 한 세대에 전해지는 것이니 喜神看與殺相連 _ 희신간여살상련 _ 희신이 관살(官殺)과 어떻게 연관되어 이를 돕고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1. 식상이 자식 _ 일주가 왕한데 인수는 없고 식상이 있어 자식이 많은 경우 "이 사주는 일주가 왕(旺)하고 비겁이 많은데, 연월(年月)의 천간에 상관이 투출하여 지지에 통근하였다. 축토는 습토이니 능히 금(金)을 생하고 수(水)를 쌓아둘 수 있다. 일주인 무토는 인오술(寅午戌) 화국(火局)의 고(庫)인 술토를 깔고 앉았으니, 비록 축월의 겨울이라 할지라도 얼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가업은 부유하였다. 더욱 반갑게도 운마저 서방의 금(金)운을 달렸으니 어그러짐이 없었다. 나이 열여섯부터 아들을..

적천수 2023.06.13